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on growth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meta-analysis, thereby presenting the basis for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and helping to generaliz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xercis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0.996, showing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program, exercis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order of compound exercise (1.315), aerobic exercise (0.904), and resistance exercise (0.244).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exercise programs centered on complex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ffective in improving growth factors. Second, the exercis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ost effective to be implemented with a frequency of 4 or more times a week (1.498), a time exceeding 80 minutes (2.003), and a period of 8 weeks or less (2.292). Howeve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horter the exercise period, the larger the effect size, but the overall effect size during the exercise period showed a medium or higher effect size. Seeing the effect will make more sense. In addi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long-term exercise of children does not affect normal growth patterns, and during rapid growth, a balanced and nutrient-rich diet should be consumed. In the part where the effect size decreases as the period increases, extraneous variables such as maturity in childhood cannot be ignored, and further research on this will be needed. And, the number of papers observed in this study was not large, and in many studies excluding growth-related hormo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ious factors with different exercise periods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rough the dots, it is revealed that the shorter the exercise period, the more effective it does not mean. Third, the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in the lower variables of all growth factors in the order of GH (1.240), BDNF (1.228), and IGF-1 (0.957). Exercise can be seen as an effective method that has a great effe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exercise is very effective in the blood growth fact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research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exercis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운동이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운동프 로그램의 적용의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일반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대상 운동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996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운동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복합운동(1.315), 유산소운동(0.904), 저항운동(0.244)의 순으로 운동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 생 대상으로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 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이 성장관련 호르몬 향상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 대상의 운동프로그램은 주 4회 이상(1.498)의 빈도, 80분 초과(2.003)의 시간, 8주 이하(2.292)의 기간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운동기간이 짧을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왔으나, 운동 기간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기 때문에 기간을 짧게 하는 것 보다는 꾸준히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을 생활화하여 장기간에 걸쳐 운동효과를 보는 것이 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관 련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아동의 오랜 기간의 운동이 정상적인 성장 패턴에는 영향을 미치는 않으며, 급격한 성장 이 일어나는 동안 균형 있고 영양이 풍부한 식이섭취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효과 크기가 감소하는 부분은 아동기의 성숙 등 가외변인을 무시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 한, 본 연구에서 관찰한 논문 수가 많지 않으며,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을 제외한 많은 연구들에서는 운동기간 을 달리한 여러 요인들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 운동 기간 간의 상호 직접 통계처리는 이루어지지 않은 점 등을 통해 운동기간은 짧을수록 효과적이라는 의미임은 아니라는 것을 밝힌다. 셋째, 초등학생 대상의 운동프로그램 적용은 GH(1.240), BDNF(1.228), IGF-1(0.957)의 순서로 모든 성장관련 호르몬의 하위 변인에서 큰 효과 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은 초등학생의 성장발달에 큰 효과가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를 통해 본 연구는 운동이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초 등학생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절차 및 단계
3. 연구 대상의 수집 및 선정
4. 메타분석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운동과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 간의 전체 효과크기
2. 운동 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
3. 성장관련 호르몬 하위 변인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
Ⅳ. 논의
1. 운동이 초등학생의 성장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의 전체 효과크기
2. 운동 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
3. 성장관련 호르몬 하위 변인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