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Person-Job Fit and Career Identit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Official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s of person-job fit and career ident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ew Low-Ranking officials in primary local government,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ly-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on-job fit and career identity of new Low-Ranking officials in primary local government positively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Low-Ranking officials in primary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on person-job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한국어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하위직 신규 공무원을 대상으로 직무적합성과 경력정체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내부지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지자체 하위직 신규 공무원의 직무적합성과 경력정체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관계지향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기초지자체 하위직 신규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관계지향문화는 직무적합성의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대상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특정 지방자치단체 혹은 지역별로 소수의 실증연구가 수행되어 온 조직몰입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기여하였다. 또한 최근 유입되고 있는 유능한 지방인재인 기초지자체 하위직 신규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직무적합성과 경력정체성의 조직몰입에 대한 효과와 관계지향문화의 조절효과를 실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무적합성의 조직몰입에 대한 직접적인 긍정의 효과성이 검증됨에 따라 기초지방자치단체 하위직 신규 공무원의 최초 배치과정에서부터 직무적합성을 고려한 인사가 필요하다. 둘째, 신규 공무원의 경력정체성이 조직몰입을 높이고 있음이 밝혀짐에 따라 하위직 신규 공무원에게 적합한 경력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경력경로를 예상하고 꾸준한 자기개발을 유인할 수 있는 경력개발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대한 음(-)의 조절효과가 있음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동체 의식이 상대적으로 넓게 퍼져있으며 구성원들의 단합과 관련된 규범 및 가치관이 발달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초지자체일수록 하위직 신규 공무원의 조직몰입을 위해 객관적인 업무접근태도와 업무특성에 따른 적정한 권한위임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끝으로 기초지자체 하위직 신규 공무원이 신속하게 조직에 적응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직무 및 역할, 세대상 특징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조직문화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조직몰입
2.2. 직무적합성
2.3. 경력정체성
2.4. 내부지향 조직문화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변수의 측정
4. 분석결과와 논의
4.1.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4.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3. 조직몰입에 대한 근무 지역별 평균 차이
4.4. 가설의 검증
5.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5.1.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