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ase Study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relevant practitioners and institutions by identifying problem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visi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which is conducted as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that emerged from the aspect of “visi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were “an unclear communication system”, “an uneasy status of instructors”,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he instructors”, and indifference from the members in the school. Second, the problem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ructor-school teacher-student were “lack of educational competency”, “school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lack of instructor's expertise”, and “lack of diversity of educational content and participation activities.” Third,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field of education were “lack of connection with the school curriculum, lack of ability to use educational materials, lack of knowledge about cultural education methodology, and lack of detailed teaching skills and attitud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visi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First,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cultivate instructors specialized i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in schools.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찾아가는 다문화이해교육’의 운영 사례를 통해 다문화이해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관련 실무자나 기관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찾아가는 다문화이해교육’ 운영 측면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불명확한 소통 체계’, ‘강사의 불안한 지위’, ‘강사의 전문성 부족’, ‘학교 내 구성원의 무관심’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사-학교 교사-학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제점은 각각 ‘교육 역량 부족과 학교교사의 인식과 태도’, ‘강사의 전문성 부족’, ‘교육 내용의 다양성과 참여활동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현장의 실제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부족’, ‘수업자료의 활용 능력 부족’, ‘문화교육방법론에 대한 지식 부족’, ‘세부적인 강의 기술 및 태도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찾아가는 다문화이해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이해교육 전문 강사 양성을 위한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에서의 다문화이해교육 실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 추이와 다문화이해교육
2.2 선행연구
2.3 실제 지향 연구
3. ‘찾아가는 다문화이해교육’ 운영 사례
3.1. 사업 개요
3.2. 연구 방법과 내용
3.3. 연구 자료
3.4. 연구 결과
4.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