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방문 작업치료가 지역사회장애인의 인지, 일상생활,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기간에 따른 효과 비교 : WHODAS 2.0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s of 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lities in the Community : Focusing on WHODAS 2.0

김아름, 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In this study, the cognitive, social participation, and daily activity effects of 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for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assessed through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 (WHODAS 2.0), and two health centers were compared to confirm the effective intervention period. Methods: Participants were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communities with brain lesions and physical disabilities. A total of 17 subjects were divided into 8 patients receiving short-term treatment once a week and 9 patients receiving long-term treatment once a month. Through the WHODAS 2.0 evaluation, the health status was identified, and difficulties in cognition, daily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and post-test of the visiting interventions, and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cores between group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p was below .05. Resul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hort-term treatment group after 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he daily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scores of the long-term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anges among the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on, walking, self-management, social participation, or total score, althoug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tting along and doing housework. Conclusion: Daily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improved through monthly long-term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in people living in community with disabilities. Long-term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independent rol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various evaluation tools are recommended to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each family, and long-term visits for occupational therapy are expecte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활동 및 참여에 제한이 많은 신체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방문 작업치료를 시행하여 인지, 사회참여,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를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WHODAS 2.0)을 통해 검증하고 효과적인 치료 기간 확인을 위해 장기 치 료 집단과 단기 치료 집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뇌병변과 지체 장애 등급을 받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했다. 대상자는 총 17명으로 주 1회 단기 방문 치료를 받는 8명과 월 1회 장기 방문 치료를 받는 9명으로 나뉜다. WHODAS 2.0 평가를 통해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인지, 일상생활, 사회참여의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방 문 작업치료 중재에 따른 전‧후 차이는 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의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서 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 p = .05로 하였다. 연구결과 : 방문 작업치료 중재 전ᆞ후에 단기 치료 집단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으며, 장기 치료 집단에서는 어울림, 집안일, 사회참여,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집 단 간 변화량 차이는 인지, 돌아다니기, 자기관리, 사회참여, 총점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울림과 집안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다양한 질환을 가진 장애인을 중심으로 월 1회의 장기 방문 작업치료 중재 통해 일상생활, 사회참 여를 향상시켰다. 장애인의 독립적인 역할을 유지하고 능동적인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 해선 장기간의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개인의 가정마다 적합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도구 적용을 제안하고 보다 많은 방문 작업치료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방문 작업치료 중재 전ᆞ후 변화
3. 단기 치료 집단과 장기 치료 집단 간의 차이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아름 Kim, A-Reum.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김희 Kim, Hee.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