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interest in the high-potential Chinese beauty market is growing, understanding the disposition of Chinese consumers different from Korea is becoming more important for successful entry into the Chinese market.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differences in beauty shop selection attribut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beauty shop selection attribute was classified into five components: environmental attribute, structural attribute, external attribute, awareness, and service attribute.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162 Chinese and 111 Koreans, respectively,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oth Chinese and Korean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attribute, service attribute and satisfac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aining attributes and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between Chinese and Korea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ttribute, service attribute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companies to establish and operate a higher quality beauty shop based o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n the fierce competition in the beauty market.
한국어
잠재력이 큰 중국 뷰티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성공적인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한국과는 다른 중국 소비자들의 성향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 간의 뷰티샵 선택 속성 차이 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점포선택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뷰티샵 선택 속성을 환경적 속성, 구조적 속성, 외형적 속성, 인지도, 서비스 속성 등 5개의 구성요소로 분류하였다. 중국인 162명과 한국인 111명으로부터 각각 설문 응답을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중국인이나 한국인 모두 뷰티샵 선택 속성 중 환경적 속성 및 서비스 속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는 유의하나, 나머지 속성들과 만족도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환경적 속성 및 서비스 속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는 중국인과 한국인 간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과 중국인 간의 뷰티샵 선택 속성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치열한 뷰티 시장의 경쟁에서 각국의 상황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품질 높은 뷰티샵을 창업 및 운영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가설설정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측정도구
3. 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3 인과관계 검증결과
3.4 가설검증 결과: 한국과 중국 간 차이
4. 결론
4.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4.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