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what type of review comments, as peer responses, ,on essays can be effective for the writers. To this end, the comments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readers’ vocabulary and the revised essays were examined. The following features of the comments on the highly-evaluated essays were identified. First, the express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compositions and contents tended to be frequently used as such in the comments. The highly-evaluated essays were characterized using such expressions. Next, the words which are associated with “compositions” and “contents” were more frequently used than those associated with “consideration for readers” and “Japanese” in individual comment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comments were inferred from the co-occurrence words. One comment did not contain multiple elements and was focused on a single element. Moreover, several positive changes were identified in the finished essays which reflected those comments. After the changes, some were logically consistent and some were more conscious of read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ments in peer response can produce an organic effect. The comments which are understandable for writers are reflected in the revised version of their essays, resulting in highly-evaluated composition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협동 퇴고 활동 시에 어떠한 코멘트가 작문의 필자에게 효과적으 로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 어휘에 주목한 코멘트 분석 및 작문 수정 예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평가 상위군의 작문에 달린 코멘트의 특징으 로서 아래와 같이 알게 되었다. 첫째, 코멘트에서 사용된 단어의 총 출현수로는 작문의 구성이나 내용에 관련된 단어의 빈도가 높은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코멘트 단위의 특징으로는 “독자에 대한 배려” 또한 “일본어”보다 “구성” 및 “내용”에 관련된 단어를 사용한 코멘트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기(共起) 어로 추측할 수 있는 코멘트의 방향성으로는, 하나의 코멘트 안에 여러 요소를 넣지 않고, 하나의 요소에 집중하여 코멘트를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구성에 관한 코멘트와 내용에 관한 코멘트가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코멘트를 반영한 완성 작문에서는, 정합성 있는 내용이 되거나 독자 를 의식한 문장이 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협동 퇴고 활동 시에 작문 필자에게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코멘트가 전달되면, 그것이 수정에 활용되어 작문의 높은 평가로 이어진다는 유기적 인 작용이 생기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협동 퇴고 에서의 코멘트 부여 방법에 대한 지도 방향을 제안한다.
목차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および研究課題
2.1. コメントの内容に関する研究
2.2. 協同推敲でのコメントと修正に関する研究
2.3. 残された課題と本稿の研究課題
3. 研究方法
3.1. 調査手順およびデータ
3.2. 分析方法
4. 結果
4.1. コメントを特徴づける単語
4.2. コメントに対する修正
5. 考察
6. 日本語教育への示唆と今後の課題
参考文献(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