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among Organizational Climate, Multicultural Practical Competence and Job Embededness of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
초록
영어
This research examined organizational climate,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job embeddedness of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 and studi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samples are 175 multicultural practitioners at 7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s located at Seoul and Gyunggi-Do. The study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conformati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analysis by SPSS Statistics 20.0 and Amos 21.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limate,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job embededness of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s appeared to be posive by the mean value of 3.5 out of 5. Specifically, work reward and incentives(M=3.33) are relatively low, multicultural practice skills(3.27) are lowest among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sub-factors and fitness is the highest(Mean=3.79) among job embededness sub-factors. Second,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embededness(Ɓ=0.426, C.R.=5.293, p<.001), and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embededness. Third, organizational climate has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Ɓ=.206, C.R.=2.499, p<.05)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embedednes(Ɓ=0.488, C.R.=6.131, p<.001).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was suggested to improve job embededness of multicultural practitioners by chang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improving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한국어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간 관 계의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있는 7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에 근무하는 다문화 실천가들로 총 175명이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Statistics 20.0 및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이루어졌 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 실천가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의 평균값은 5점 총점에 3.5 이 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상인센티브(M=3.33)와 업무배정(M=3.27)이 낮게 나타났고. 다문화역량에 대해 다문화실천기술(3.27)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무착근도의 하위요인 중 적합성(Mean=3.79)이 매우 높게 나타났 으나 연계(Mean= 3.19)와 희생(Mean= 3.02)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실천역량은 직무착근도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표준화 계수=0.426, C.R.=5.293, p<.001), 조직풍토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에 간접효 과를 나타냈다. 셋째, 조직풍토는 다문화실천역량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표준화 계수=. 206, C.R.=2.499, p<.05), 또한 직무착근도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표준화 계수=0.488, C.R.=6.131, p<.001). 연구 결과에 따라 조직풍토의 개선과 다문화역량의 강화로 인한 다문화 실천가들의 직무착근도를 향상시키 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실천역량의 개념
2. 조직풍토의 개념
3. 직무착근도의 개념
4. 다문화역량과 직무착근도 간의 관계
5. 조직풍토와 다문화역량과 직무착근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및 타당성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인구 사회학적 특성
2. 기술 통계분석
3. 주요변인 상관관계
4.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