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브랜드 애착이 제품 사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속성 정렬 가능성의 조절적 역할 : 스마트폰 사용자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oderate Effect of the Attribute Alignability on the Relations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Product Usage Behavior : Focus on Smartphone Users

조재욱, 박승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rand attachment on internal modification behavior and usability expanding behavior of product. It has been found that the attribute alignable difference of product plays a moderating effect in internal modification behavior and usability expand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re brand attachment is high, the more behavior of product internal modification behavior and usability expanding behavior of product are high. In addition, consumers with high brand attachment showed greater internal modification behavior of the product when the difference of attribute alignability was high. Also, consumers with high brand attachment showed greater usability expanding behavior of the product when the difference of attribute non-alignability was high. Companies can improve brand attachment and retain loyal customers by increasing the difference of attribute alignability in consumer's product internal modification behavior. In terms of consumer's behavior of expanding product usage, we can strengthen brand attachment and can be used as a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of products through the attribute nonalignable difference.

한국어

본 연구는 브랜드 애착이 제품의 내형 변형 행동과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제품 속성 정렬가능성 (attribute alignability)의 조절적 역할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 브랜드 애착이 높을수록 제품 내형변형행동 과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애착이 높은 소비자는 브랜드 애착이 낮은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성 정렬 가능 차별점이 높을수록 제품의 내형변형행동이 크고, 속성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이 클수록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 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에서 소비자의 제품 내형변형행동에 있어,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가능 차별점을 높임으로써,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있어서는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불가 능 차별점을 통해 경쟁제품 속성과 차별화하여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자사 제품에 있어 차별적 경쟁우위로 활용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2.1 브랜드애착
2.2 속성정렬가능성
2.3 연구가설
3. 연구방법
3.1 실험설계 및 연구모형
3.2 실험절차 및 자극물
3.3 척도
4. 연구 결과
4.1 가설 검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재욱 Jae-Wook Jo. 대림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박승배 Seung-Bae Park. 서일대학교 산업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