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드라마 <동백꽃 필무렵>에 나타난 언어특성 분석

원문정보

Language Analysis on When Camellia Blooms

박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on When Camellia blooms. The drama was broadcasted from September 18th, 2019 to November 21th, 2019 in 40 episodes. The drama was popular issue among people because its audience rate was increased every week. Its main story was that young man(Yongsik) and woman(Dongbak) would meet and love against so many obstacles in a fishing village so called Oongsan.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s for its popularity. For example, someone said the drama was well structured with some romance and some mystery. And someone said th drama’s characters were acting excellently, like Duksun and Yongsik. Thus I wanted to know what the reason of its popularity was. I supposed that it was the play-writer’s language power which is audiovisual elements, especially auditory ones. And thus the study has taken outsiders perspectives. Then I collected the dialogues of the main characters in 40 full episodes. Then I chose the dialogues which I felt interesting and categorized it. The category is as follows :ignorance, dialects, humor or wit, utterance which is not expected or not used properly or expressions from error of their identities. The method of the study is character analysis among drama analyzing methods. For example, Dongbak, main character, has used the expression which the end of utterance is properly not done. This mothod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through the expressions which the characters have used in the drama. In conclusions, I argue that the play writer seems to use all the elements that people feel funny and smiling, And furthermore I tried to argue that there is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s which the main characters have used and their life backgroun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에 방영된 KBS 수목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언어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다. <동백꽃 필 무렵>은 2019년 KBS에서 인기리에 방영되었는데 그 드라마가 인기를 끄는 이유에 대해서 는 다양한 관점이 있다. 혹자는 드라마가 로맨스와 추리물 등 장르 구성을 조화롭게 구성한 점에서 그 이유를 찾고, 혹자는 배우들의 명연기에서 그 이유를 찾지만 연구자는 그 이유를 작가의 대본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연구자가 이 연구에서 다룬 내용은 2019년 KBS TV에서 방영한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40회 전편에서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언어이다. 그중에서 연구자가 보기에 재미있게 느껴지는 부분 을 발췌해서 연구자가 고안한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표현상의 무지함, 사투리의 반복, 기대를 뒤집는 발언 또는 통쾌한 표현, 외래어 사용과 오용, 인식오류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그런 용례를 보여준 대사 를 드라마를 보면서 낱낱이 기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드라마의 분석방법론 중 ‘인물분석’이다. 이것은 인물들이 쓰는 말의 특성을 통해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가령 주인공 동백은 거의 언제나 말끝을 흐리는 데 그런 특성은 그녀의 삶이 엄마에게 버림받고 늘 사람들에게 소외 됨으로써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한 성격을 드러낸다. 또는 규태라는 인물의 언어는 언제나 소신이 없음 을 보여준다. 성장과정에서 어머니나 아내에게 주체적인 대우를 받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관심은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시청각적 요소’에 두었다. 그중에서도 인물들의 대사에서 시 청자를 웃기거나 재미를 느끼게 하는 청각적 요소에 집중하였다. 말하자면 드라마의 다른 요소, 즉 시각 적 요소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철저히 인물의 언어적 특성을 가지고 드라마의 내용과 인물들의 성격을 파악하는 ‘외부자적 접근법’을 취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내용 및 방법
Ⅱ. 희극의 역사
2.1. 인간은 왜 웃는가?
III.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분석
3.1. 연구방법
3.2.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분석
3.3. 구체적 분석
3.4. 인물평가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희 Young-Hee, Park. 서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Seowon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용수(2004). 드라마 분석 방법론: 연극, 영화, 그리고 TV 드라마의 해석을 위하여. 집문당.
  • 2메난드로스(2014). 메난드로스 희극. 천병희 역. 도서출판 숲.
  • 3아리스토텔레스(2017). 시학. 천병희 역. 도서출판 숲.
  • 4아리스토파네스(2010).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전집. 천병희 역. 도서출판 숲.
  • 5아스무트, 베른하르트(1995). 드라마분석론. 한남대학교 출판부.
  • 6플라우투스(2007). 쌍둥이 형제 메내크미. 심미현 역. 도서출판 동인.
  • 7한국콘텐츠진흥원(2009). 드라마 성공요인분석.
  • 8김선관(2004). TV코미디 프로그램의 웃음 생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유수열(1985). 텔레비전 코미디(희극)의 웃음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유승호(2006). 한국 현대소설의 구현원리로서 웃음의 미학적 특성과 의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11이지창(2007). 남·녀 웃음 코드의 연구: <개그콘서트> 시청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2조바울라(2010). 한국 가족 코미디영화의 웃음코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3조선일보(2019). 송혜진의 드라마를 맛보다. “사는 게 고되지유 일단 한 판 들어유”. 11월 05일.
  • 14조선일보(2019). 워뗘? 환장하쥬?...느리지만 강한 충청도 사투리의 귀환. 11월 27일.
  • 15조선일보(2019). 촌티 줄줄 나는 향미 만나 내 인생에도 동백꽃 피었죠. 11월 22일.
  • 16한겨레신문(2019). ‘동백꽃’ 휴머니즘 담은 ‘그릇이 대짜’여유~. 10월 18일.
  • 17한겨레신문(2019). <동백꽃 필 무렵>의 위험한 휴머니즘. 이승한의 술탄 오브 더 티브이. 10월 26일.
  • 18한겨레신문(2019). 손아람의 공감세상 “네가 처음 동물을 죽였을 때”. 12월 25일.
  • 19한겨레신문(2019). 임상춘 작가의 따뜻함 또 통했다... ‘동백꽃 필 무렵’ 소소한 일상의 특별함. 10월 24일.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