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디어의 사회적 음주: tvN의 술꾼도시여자들 중심으로 음주장면 내용분석

원문정보

Social Drinking on Media: Content Analysis of the Public Health Aspects of Alcohol-Drinking Scenes on Cable, tvN <Work Later Drink Now>

윤수진, 손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presents an analysis of the media content "Work Later, Drink Now,” focusing on its representation of "The Korean's drinking culture” and its impact on harmful alcohol use. The study identifies several problematic aspects of the drama, including violations of the Youth Protection Act, misrepresent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non-compliance with the WHO's SAFER program for reducing harmful alcohol use. The article also highlights the drama's promotion of group drinking culture and the selective portrayal of certain alcoholic beverages. Despite the WHO's efforts to reduce harmful alcohol use, the article notes that the drama actively promotes the idea that alcohol is not harmful to individuals or society. The article concludes by highlighting the challenges faced by the WHO in achieving its goal of reducing alcohol consumption by 10% among member countries by 2025, and the predicted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based on current trends.

한국어

이 연구는 미디어, <술꾼도시여자들>에 대한 문제제기로, 드라마코드 방식의 ‘음주문화’가 ‘유해한 알코올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술꾼도시여자들>은 청소년보호법의 법령 을 위반하고 있었다. 둘째, 실제와 다르게 허위로 묘사된 장면에서 현재의 관련 법령 위반 및 교육적 요소 를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셋째, <술꾼도시여자들>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설정한 의제 NCD(Non Communicable Disease) 감소를 위한 전(全)지구적 노력에 역행하는 미디어콘텐츠로 분석되었다. 넷째, <술꾼 도시여자들>에서의 음주행위는 집단음주문화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술꾼도시여자들>은 특정 주 류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졌다. <술꾼도시여자들>이 드라마 코드를 이용하여 ‘술’을 미화하는데 적극적인 매체로 활용하여 WHO가 주장하는 SAFER 전략의 E인 ‘주류광고, 후원 금지 및 제한 강화’에 대한 권고 를 무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2025년까지 WHO 회원국들의 <알콜소비 10% 감소>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려면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음주행위를 미화하는 음주장면을 모니터링해서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 ABSTRACT
I.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알코올의 유해한 사용을 줄이기 위한 세계적인 노력
2. 음주문화와 관련된 선행 논문
Ⅲ. <술꾼도시여자들>
1. tvN, 드라마와 예능 <영화로운 덕후생활>
2. 과도한 ‘알코올’영상표현
3. ‘알코올’ 관련 대사와 자막
4. 주류 이미지의 과다 노출
5. 유튜브 채널 ‘알코올’에 관한 댓글
6. 알코올 소비의 문제점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수진 Soo-Jin Yoon. 삼육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과정(Doctoral student, Sahmyook University)
  • 손애리 Aeree Sohn.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교수(Professor, Sahmyoo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