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 이론에 따른 미디어 프레임의 서사적 사용에 관한 연구 - Ian Bonhote과 Peter Ettedgui 연출의 다큐멘터리 <불사조, 비상하다> (원제: < Rising Phoenix >)의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Narrative Uses of Media frames according to disability theory - Focused on the narrative analysis of < Rising Phoenix >, produced by Ian Bonhote and Peter Ettedgui

조현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ersons with disabilities often suffer from social discrimination in labor, education, political participatio n and transportation. We find that their image is set in a certain style by the media. Various efforts h ave been made to improve this type of social perception, especially after the introduction of mass medi a. Some of those attempts, however, did not work very well because they unintendedly relied on distor ted images of these people, such as being melodramatic, or being a super-hero with savant syndrome, which is not as common as we are led to believe. In the worst case, they are often forced to have de sires in a way that society wants. Meanwhile, several studies have attempted to categorize disability m odels according to how the media perceives the disabled and analyze video contents in this framework.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track down how content in this area is produced through four models: the medical-limitation model, the medical-diversity model, the social-limitation model and the social-d iversity model according to certain media characteristics, such as whether the content appeared in film s, on TV and/or in internet videos. There studies enable us to discover the nature of each form of me dia and the limitations of each as well. Some studies successfully proposed desirable models for society. Here, we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documentary film, Rising Phoenix, produced by Ian Bonh ote and Peter Ettedgui in 2020 and by doing so examine how the aforementioned four frames work w ithin a film. We focus on how a certain frame transforms into another in the narrative structure, follo wing previous studies in which only one framework was found to exist in each set of contents. This a pproach can allow us to examine how disability models and media frames can work for narrative pur poses and provide directions for more advanced and desirable disability acceptance by the media.

한국어

장애인은 사회적으로 노동, 교육, 정치참여, 이동 등 각 분야에 있어 차별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차별의 이면에는 미디어에 의한 장애인 이미지가 특정방향으로 고착화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대중매 체의 등장 이후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몇 몇 노력들은 장애인에 대한 신파적인 미담발굴, 서번트 신드롬 등 극히 예외적인 현상의 일반화, 특정 이미지의 강요 등에 의해 그 의도와는 상관없이 장애인 인식개선에 효과적이지 못할 수 밖에 없었다. 가 장 심각하게는 장애인이 가진 욕망, 꿈 등을 사회가 요구하는 것으로 대치시키고 강요하는 현상도 많은 사례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매체가 장애인을 인식하는 방법과 방향을 장애이론에 따라 유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프레임 구성방식에 따른 영상콘텐츠들을 분석하려는 선행연구를 많이 찾아볼 수 있 다. 영화, 방송, 인터넷 동영상 등 매체의 특성에 따라 의료-한계모델, 의료-다양성모델, 사회-한계모델, 사회-다양성모델의 4개의 프레임의 분포를 추적해보는 연구들이 그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각각의 매체가 가지는 특성과 한계를 조망할 수 있었으며, 연구에 따라서는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는 등 가치 명제의 도출도 이루어질 수 있었다. 여기에서는 일련의 장애인올림픽 출전선수의 이야기와 장애인올림픽 의 역사, 우여곡절 등을 담아낸 Ian Bonhote과 Peter Ettedgui 연출의 2020년 작 다큐멘터리 <불사조, 비상하다 (Rising Phoenix)>의 서사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위에서 제시한 4개의 프레임이 한 다큐멘터리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고찰해보도록 한다. 각각의 작품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분석하는 기존의 연 구와 차별화하여, 한 다큐멘터리 안에서 장애인식의 프레임이 서사전개에 따라 어떠한 역할을 하며 이동 하는지 분석해보도록 한다. 이러한 노력은 장애 이론과 프레임이 서사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검증하는 동시에 미디어가 바람직한 장애인식의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선행연구
1.3. 연구방법
2. 본론
2.1. 장애 이론
2.2. 장애 인식의 미디어 프레임
2.3. Rising Phoenix에서의 장애 인식 프레임 분석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현일 Cho, Hyun Il. 숭의여자대학교 영상제작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