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이해

원문정보

Teleological nature understanding by I. Kant

박병기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29집 2003.06 pp.185-20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eleological nature understanding by I. KantByong-Kie Park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teleological nature understanding by Kant, and it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the ecologists who introduce the teleology rather criticize nature teleology by Kant, and it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room for interpreting the teleological nature understanding by Kant eco-friendly, or not. The ecologists' criticism, the Kant's teleology with anthropocentrism is against the environment, may have a basis in a degree on the point that Kant makes understand the relations with human and nature as the ones of ends and means and looks for the ultimate object for the nature in the culture of human skillfulness. But Kant discusses the culture of discipline that prepares for morality through the liberation of will from the congestion of desire, and he emphasizes that the human, as a moral being, is ultimate object for creating the world. In the Kant's system, it is considered as the ultimate object subordinates the conditional object of all the nature and it is essential to think the whole world as a teleological system. After all, it seems that Kant strongly suggests that using the nature or realizing the object by the human should be righteous thing in view of the moral principle. Accordingly, it depends on that the moral principle that Kant suggests can be interpreted as eco-friendly thing whether Kant's teleology with anthropocentrism is against the environment or is with the environment.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이해가 어떠한 것이기에 목적론을 끌어들이고 있는 생태중심주의자들이 오히려 칸트의 자연목적론을 비판하고 있는가를 구명하고,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이해를 친환경주의적으로도 해석할 여지는 없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칸트에 있어 자연목적론은 유기체를 탐구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의미만이 아니라 자연의 최고의 근거를 숙고하기 위한 형이상학적 의의를 함께 지니고 있다. 칸트는 판단력비판에서 목적론이 기계론을 보충하는 보완의 사고장치가 아니라 기계론과 동등한 권리를 갖는 형이상학적 장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칸트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목적-수단의 관계로 이해하고 있고 자연의 최종목적을 인간의 숙련성의 문화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칸트의 인간중심주의적인 목적론이 환경적대적이라는 생태중심주의자들의 비판은 어느 정도 근거를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칸트는 욕구의 폭주로부터 의지의 해방을 통해 도덕성을 준비하는 훈육의 문화를 논하고 있고, 도덕적 존재자로서의 인간이 세계창조의 궁극목적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칸트의 체계에서 궁극목적이 모든 자연의 조건적인 목적들을 종속시키며 목적론적 체계로서의 세계 전체를 사고하는 데 필연적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칸트는 자연 이용이나 인간의 목적실현이 도덕적 원리에 비추어 정당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칸트의 인간중심주의적 목적론이 환경적대적인가 환경친화적인가는 칸트가 제시하는 도덕원리가 환경친화적으로 해석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칸트 자연목적론의 성격과 위상
3. 인과성과 기계론 그리고 목적론
4. 자연의 목적
4.1 자연의 내적 합목적성과 외적 합목적성
4.2 자연의 최종목적과 궁극목적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병기 Byong-Kie Park.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