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귀납에 관한 굿맨의 역설

원문정보

N. Goodman’s Paradox on Induction

이명숙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41집 2006.06 pp.247-27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ductive logic is a “yes or no” affair; an argument is either deductively valid or it is not. But inductive strength is a matter of degree. Thus while deductive logic must clissfy argument as valid or not, inductive logic must measure inductive strength of argument. If constructing a system of scientific inductive logic were totally impossible, we would be left with an intellectual vacuum, which could not be filled by appeal to “experts.” For, to decide whether someone is an expert predictor or a charlatan, we must assess the evidence that his predictions will be correct. And to assess this evidence, we must appeal to the second level of scientific inductive logic. Any prediction whatsoever, we can find a regularity whose projection licenses that prediction. Of course, most of these regularities will be unprojectible. The point is that we need rules to eliminate those predictions based on unprojectible regularities. I shall illustrate this principle in three ways: (1) in an example that closely resembles Goodman’s “grue-bleen” paradox; (2) with reference to the extrapolation of curves on graphs, (3) continuing a sequence of numbers. The knowledge gained from this discussion will then be applied to a reexamin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uniformity of nature. The problem of constructing a system of scientific inductive logic will not be solved until the new riddle of induction and other problems have been solved. Although these solutions have not yet been found, there have been developments in the history of inductive logic which constitute progress towards a system.

한국어

과학을 합리적 지식으로 승인할 만한 근거를 찾는 문제는 곧 과학적 지식에 이르는 방법인 귀납에 관심을 모으게 하였다. 귀납에 대한 철학을 최초로 시작한 휴움은 귀납 논증에 대한 논리적 분석의 결과 귀납적 결론들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과 과학에서 우리는 귀납 추리를 믿고 사용할 뿐만 아니라 그 결론들은 매우 유익하다. 이 사실은 휴움으로 하여금 우리가 실제로 귀납 추리를 믿고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심리적 근거를 찾도록 하였다.그러나 굿맨은 휴움이 찾은 심리적 근거에 만족하지 않는다. 휴움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귀납이 논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면, 우리가 귀납 추리에 의거해서 어떤 예언을 하게 될 때 왜 다른 예언이 아니라 바로 그 예언을 타당한 것으로 택하는가? 이 글은 굿맨이 귀납의 문제를 정당화의 문제로 보지 않고, 어떤 예언을 타당하다 하고 다른 예언을 부당하다고 규정할 수 있는 비교 평가의 기준을 구성하는 문제로 보고 타당한 귀납에 대한 정의를 구성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귀납의 정당화 문제의 해소
3. 타당한 귀납에 대한 정의
4. 굿맨의 역설
5. 귀납의 새로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시도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숙 Myoungsook Lee. 전북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