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가의 친친윤리와 묵가의 겸애윤리에 대한 다윈주의적 독해

원문정보

Darwinian Interpretations on the Confucian Concept qinqin 親親 and the Mohist Concept jianai

김병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goal of the paper is to discuss the Confucian ethical concept qinqin 親親 and the Mohist concept jianai 兼愛 from the perspectives of evolutionary ethics or sociobiology such as hard-core altruism and soft-core altruism. In order to recover the social peace and order, Mozi thoroughly follows the line of utilitarianism. He claims jianai, which means the principle of rational conduct removing the selfish behavioral forms (別愛) between individuals, states or classes. It is concern or care for everyone rather than universal love, though it has mistakenly known as universal love. The practice of jianai not only benefits the one who is loved, but the one who loves,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t is quite similar to reciprocal altruism of evolutionary ethics in the sense that Mohists lay great emphasis upon increasing benefits by helping each other; the reciprocal altruist, as Mozi does, expects reciprocation from society for himself or his closest relatives. His good behavior is calculating, often in a wholly conscious way, and affected by reward. The concept qinqin, as centered o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thical terms in Confucianism. Confucian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qinqin, permit lavish preoccupation with family and close relatives, but Mohists deny it and insist the fair concern for everyone instead. The reason why men could naturally be more kind to their own kin is because men have biological affinity, which powerfully manifests in virtually all human societies. We can safely say that qinqin is identified with hard-core altruism mentioned by E. Wilson to explain strong intimacy among relatives. The hard-core altruistic impulse can be irrational and unilaterally directed at relatives. Thus, the Confucian ethical principle qinqin is basically based on our biological nature and satisfies it, but Mozi seems doesn't pay attention to it. Mozi should have known that the fair concern for everyone is too ideal, and somewhat discrepant with our biological nature. In brief, any moral principles, as I have discussed in the body of the paper, must harmonize with our nature to prosper in society.

한국어

이글의 주된 목적은 유가의 親親과 묵가의 兼愛 개념을 맹목성 이타주의와 목적성 이타주의 같은 진화윤리학이나 사회생물학의 시각으로 논하는 것이다. 사회의 和平과 秩序를 회복하기 위하여 묵자는 공리주의 노선을 충실히 따랐다. 묵자가 주장한 겸애는 이기적 행동 유형인 別愛를 없애기 위한 개인, 국가, 계층 간의 합리적 행위 원칙을 의미한다. 비록 보편 사랑이라 잘못 알려져 왔지만, 겸애는 보편 사랑이라기보다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공평한 관심이나 배려를 의미한다. 겸애의 실천은 타인에게 유리할 뿐만 아니라, 호혜성의 원리에 의해 겸애를 행하는 자신에게도 유리하다. 겸애는 묵가가 상호 부조를 통한 이익 증대를 매우 강조한다는 점에서 진화윤리학의 호혜적 이타주의와 상당히 유사하다. 호혜적 이타주의자는 묵자처럼 자신이나 자신의 가까운 친족들에게 보상을 기대한다. 호혜성 이타주의자의 선행은 대체로 의도되고, 계산된 것으로 이에 상응하는 보답에 영향을 받는다. 효행의 중심에 위치한 친친 개념은 유가의 가장 중요한 윤리 개념 중 하나이다. 친친의 원리에 따라 유가는 가족과 친족들에게 후하게 대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묵가는 이를 부정하고 대신에 모든 사람들에 대한 공평한 관심을 주장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친족에게 더 잘하는 것은 생물학적 근친성 때문인데, 이것은 실제로 모든 인간 시회에서 강력하게 나타난다. 친친 개념은 친족들 간의 강한 친밀도를 설명하기 위해 윌슨(E. Wilson)이 언급한 맹목성 이타주의와 동일하다. 맹목성 이타주의의 충동은 비이성적이며, 일방적으로 친족을 편애한다. 기본적으로 유가적 친친의 원리는 우리의 생물학적 본성을 바탕으로 하고, 이를 만족시켜 주지만, 묵자는 이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겸애라는 것이 지나치게 이상적이며, 어느 정도는 우리의 본성에 부합되지 않는 면이 있다는 것을 묵자는 인지했어야 했다. 요컨대, 필자가 본문에서 논의한 것처럼 어떤 도덕률도 사회에서 번성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본성과 조화를 이루어야만 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면서
2. 묵가의 입장 - 兼愛
3. 유가의 입장 - 孟子
4. 親親
5. 다윈주의적 독해
6.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병환 Paul B.H. Kim.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