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 읽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선호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learn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in level-based college general English classes

방민희, 박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learning activities used in level-based general English classes for first year college students. The course combines reading and writing and is divided into th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classes.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focusing on evaluating the student preference in terms of participating in different types of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nd, in particular, group and individual works. 423 students took part in the survey with 165 from 5 beginner classes, 126 from 4 intermediate classes, and 132 from 5 advanced classes.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of all three levels preferred group activities to working individually in reading, whil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learners was, they tended to prefer individual works. On the other hand, in engaging in writing activities, the majority of students perceived individual activities as more effective than working in group. Specifically, the beginner and advanced level students showed stronger preference for individual activities, for different reasons. The advanced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could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more efficiently through working individually whereas the beginner level students seemed to prefer individual activities to avoid working in group due to a sense of anxiety and low confidence in showing their perceived poor writing abilities to their peers. Overall, it is shown that writing activities are more helpful and effective as the learners’ proficiency improves. Based on the results, a number of activities and steps are suggested to help manage effective level-based reading and writing classes.

한국어

본 연구는 2019년 2학기에 수준별 읽기와 쓰기 통합 교양영어 강좌를 총 423명의 학생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다양한 학습방식과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선호도를 분석하여, 특정 학습 활동이나 수업방식을 수준별로 학생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수용하 였는지, 그리고 각 수준별 학습패턴에 특징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학습자의 읽기활동 선호도와 수준별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수업방식 이 모든 수준에서 ‘교수님의 해석과 설명’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초급은 ‘조별독해와 발표’ 활동을 중급과 고급은 ‘독해하고 개별로 요약’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활동 전반에 대해 개별과 조별활동 선호도에 있어서는 모든 수준에서 조별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쓰기활동 선호도와 수준별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초급에서는 ‘쓴 글에 바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서’, 중급과 고급에서는 ‘혼자 영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서’ 쓰기활동이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학습자들의 수준이 올라 갈수록 쓰기활동에서 독립성이 증가하고, 피드백에 대한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쓰기활동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초급과 중급의 경우 ‘처음 영작을 해봐서 혼자 쓰기가 어려웠다’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고급의 경우 ‘영작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다’와 ‘처음 영작을 해봐서 혼자 쓰기가 어려웠다’는 응답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다. 쓰기활동의 유형에 따른 선호도를 보면 초, 중, 고급 모든 수준에서 ‘주어진 주제로 개별 자유영작하기’를 가장 선호했으며 또한 조별보다는 개별활동을 선호하였다. 고급의 경우는 개별로 혼자 써보는 것이 영작실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지만, 초급은 자신의 영작실력이 부족하여 자신감 결여로 쓰기의 경우 조별활동을 기피하고 개별로 쓰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수준별 수업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필요와 눈높이를 반영하는 수업자료, 방식, 활동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선행연구
2.1 수준별 분반을 위한 진단평가의 한계와 문제점
2.2 교양영어 읽기 및 쓰기 수업에 대한 연구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도구 및 절차
3.3 수업 절차
4. 연구 결과
4.1 교재의 난이도와 흥미도
4.2 읽기 수업방식
4.3 쓰기 수업방식
4.4 읽기와 쓰기에서 조별활동과 개별활동의 선호도
4.5 조별, 개별활동 선호 이유
5. 결론
6. 제언: 수준별 읽기 쓰기 수업방안 제안
6.1 읽기활동
6.2 쓰기활동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방민희 Bang, Min-Hee. 상명대학교 조교수
  • 박태숙 Park, Tae-Sook. 상명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