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이행기 畿湖 道學 系列 儒林의 동향과 현실 대응 - 衛正論的 시각에 주목하여

원문정보

The trends of Confucian group of the Kiho Dao Learning lineage and the response to realities in modern transition era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n guarding rightness

근대 이행기 기호 도학 계열 유림의 동향과 현실 대응 - 위정론적 시각에 주목하여

朴鶴來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Confucian group of the Kiho Dao Learning lineage among the Confucian intellectuals devoting themselves to protect Confucian ideology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era. Especially, I shall investigate how the logic of adoring Right Learning and Attacking Heresies can be materialized within the lineage of Dao Learning after the mid-19 century, search how derivative debates are unfolded and organize activities of Confucian group in local communities, which are based upon the logic. Even though their group has been diverged in accordance with their academic stances after the mid-19 century, the Confucian intellectuals reaffirm the fundamental ideology of Choson Confucianism and their academic stance and seek the reestablishment of Confucian order. Furthermore, they show the practical attitude toward social environments like Appeal to king and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against the invasion of imperialistic countries. These movements are based on Guarding the Right and Attacking the Wicked. They pay a special attention to a support of Confucian order, which is getting weaken in local communities, and new understanding of Confucian ideology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n the Guarding the Right. They tries to rectify the conflicts within the Kiho School, which have been raised since the early 19 century, to secure a single directing point of Confucian schools, and to concentrate on proliferation of Confucian ideology in the local communities. By rearranging the main scholars of Kiho school, who were ahead of the Horak Controversy, at that time, main figures in the Kiho school tries to rebuild the scholastic line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Controversy. By strengthening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lineage, they tries to set up unified directing point in the Confucian group. However, because of their different interpretation and succession to Yulgok’s theories, they reproduced metaphysical debate on human nature and exposed certain limitations in their academic efforts to establishment of the Right Learning. Nevertheless, their common perspectiv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Learning leads to reaffirmation of Confucian ideology in local communities and shares the same stances on activities of materializing the ideology. In order to maintain the Confucian ideology, they try to unfold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upon this, they concentrate on rebuilding local academies and publishing the complete works written by their colleagues and friends in order not only to expand Confucian ideology but also to reproduce Confucian scholars.

한국어

본고는 근대 이행기를 거치면서 유교 이념의 수호와 이를 위한 활동에 전념한 유학적 지식인들 가운데 기호 도학 계열 유림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도학 계열 내부에서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 도학 계열 유림들의 공통적인 인식인 ‘崇正學 斥異端’의 논리가 어떻게 구체화되고, 이와 부수된 논의들이 어떻게 전개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개된 향촌 사회 내에서의 유림들의 활동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기호 도학 계열 유림들은 19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하는 門戶 分立과 學派 分裂 속에서도 조선 유학의 근본이념과 학문적 입장을 재천명하면서 유교 질서의 재정립을 모색하였으며, 위정척사라는 시대 인식을 바탕으로 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상소 운동과 의병 활동을 전개하는 등 실천적 지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들은 위정론적 시각에서 유교 이념의 재인식 및 저변화, 그리고 향촌 사회에서 약화되어 가는 유교 질서의 扶植에 주목하였다. 19세기 전반기부터 구체화된 기호 학계의 갈등과 대립을 정학의 수립을 통해 일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림들의 일치된 지향점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향촌 사회 내에서 유교 이념의 확인과 확산에 주력하였다. 당시 기호학계의 중심인물들은 호락 갈등으로부터 연원하는 당시 기호학계의 분열을 호락 이전의 기호학계 중심인물을 중심으로 학통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인식의 강화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림의 통일된 지향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율곡 학설에 대한 상이한 계승과 이해의 차이에 따라 성리 논쟁이 재현되는 등 정학 수립을 위한 학문적 노력은 일정한 한계점을 노정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정학 수립에 대한 공동의 인식을 기초로 향촌 사회 내에서 유교 이념을 재확인하고 구체화하는 일련의 활동에서는 대체로 일치된 입장을 취하였다. 유교 이념의 부식을 위해 기호학계 유림들은 각 학파의 종장을 비롯한 핵심 인물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교적 지식인을 재생산하고 유교 이념을 확산하기 위해 문집 발간 및 서원과 사우의 복설과 신설에 주력하였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학계의 분열과 ‘正學’ 수립
3. 성리 논쟁의 재연
4. 강학의 확산과 유교 이념의 저변화
5. 문집 발간과 원우의 복설 및 신설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朴鶴來 박학래. 군산대학교 역사철학부 철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