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순자(荀子)의 도덕적 자아 재구성-비움(虛), 고요함(靜), 가지런함(壹) 비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consideration of the Moral Self in Xunzi’s Theory: Focusing on the Concepts of “Emptiness,” “Stillness,” and “Unity”

양순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Xunzi, our mind can recognize things in the world, make a right judgement, and make the right choice. As a result, the mind is the foundation of our practicing rituals. He presupposes that our consciousness is incessantly intended to something, and emphasizes that we should make the contents of our consciousness coherent with each other. For the purpose, the states of our mind, "emptiness," "stillness," "unity" are needed. The mind in three states can order and choose itself without being ordered from anything. However, if we consider contemporary philosophies and cognitive science, the moral self on the basis of free will or unified consciousness cannot be realized. In post-modernism, the concept of self is not valid anymore, and is furthermore disappearing from the heart of debate. Also, in the fields of social psychology and neuroscience, the idea of objective self cannot be realized. Therefore, we can reach a conclusion that Xunzi's concept of self on the basis of the unified consciousness through language is an illusion. Some philosophers are trying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e objective self, which is "self-in-process." In the concept of "self-in-process," our body is the central axis instead of consciousness. The "body" does not just refer to our brain and flesh, but also to biological- psychological phenomena as well as our thought, feelings, and desires. We can look at our self from a more complex perspective if we consider our body. There are two systems in our body: hot and cold ones. The slow, cold, and conscious mind is the cold one while the fast, hot, and unconscious instincts, intuition, and skill are the hot one. The cold cognition covers the great pure understanding through “emptiness,” “stillness,” “unity” emphasized by Xunzi. Therefore, he focuses on the pure cognition of mind because he does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hot cognition. Accordingly, we should not focus on only the unified consciousness through “emptiness,” “stillness,” and “unity”, but analyze the dynamic relation of two cognitions which coexist in our body in order to create a new moral self.

한국어

순자는 마음이 외부 대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고, 올바른 판단을 거쳐 올바른 선택을 함으로써 예(禮)를 실천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본다. 순자는 우리의 의식이 끊임없이 어떤 대상을 향하고 있음을 전제하고, 우리의 의식 내에서 지각 내용들이 조화를 이루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의식의 통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이 마음의 ‘비움,’ ‘고요함,’ ‘가지런함’이다. 이와 같은 능력을 갖춘 마음은 누구의 명령도 받지 않고 스스로 명령하고 선택한다. 그러나 현대 철학과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보면 순자의 자유의지나 통합된 의식을 기반으로 한 도덕적 자아는 성립하기 힘든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주체가 중심으로부터 밀려나며, 더 나아가 자아 개념 자체의 제거가 시도된다. 또한 사회심리학과 신경과학에 따르면, 객관주의적 자아가 성립할 수 있는 여지는 없어 보인다. 자아에 대한 객관주의 모형은 합리성과 의지의 중심지인 일원적・의식적 자아의 존재를 가정한다. 그러나 현대 인지과학은 이런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순자의 ‘비움’, ‘고요함,’ ‘가지런함’을 통한 통합된 인식은 환상이라는 결론에 다다른다. 객관주의적 자아 대신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변화적 자아’이다. 변화적 자아에서는 의식 대신에 ‘몸’이 중심축이다. 몸이라는 것은 단순히 뇌와 신체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그것은 생리학적 심리학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유, 느낌, 욕구의 역동적 복합성이다. ‘몸’을 전제했을 때 우리는 ‘자아’를 좀 더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우리의 몸에는 차가운 시스템과 뜨거운 시스템이 혼재해 있다. 느리고, 차갑고, 의식적인 마음이 전자에 해당하고, 빠르고, 뜨겁고,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신체적 본능, 직감, 기술 등이 후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순자가 강조한 ‘비움,’ ‘고요함,’ ‘가지런함’을 통한 명징한 인식은 차가운 인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순자가 마음의 명징한 인식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의 몸이 가지고 있는 뜨거운 인지 시스템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순자의 도덕적 자아를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허정일(虛靜壹)’을 통한 의식의 통합에만 주목하는 대신에, 우리 몸에 공존하는 뜨거운 인지와 차가운 인지의 역동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서론)
2. 나를 버리기(喪我) : 장자의 ‘비움(虛)’과 ‘고요함(靜)’
3. 읽어버린 나를 찾아서: 순자의 ‘비움(虛),’ ‘고요함(靜),’ ‘가지런함(壹)’
4. 예(禮)를 실천하는 “변화하는 몸적 자아”
5. 나오는 말(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순자 Yang, Soon-ja. 전남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