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role of comparisons between music and language in L. Wittgenstein’s Philosophy, referring to some enigmatic remarks on music in his both early and later writings.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of content, from the Tractatus to the Investigations, he consistently compares music and language. In these comparisons, music is used as an educational tool in order to let readers understand his philosophy of meaning more appropriately. In case of the Tractatus, music plays an effective role in explaining why propositions should be understood as an articulation of the elements. The similarities between musical theme and proposition induce the readers to turn their attention away from denotative function of language to structural and combinatory aspects of propositions. In the case of later writings, considering ‘understand of music’ as a type of ‘aspect-seeing’ serves to bett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eaning-experience’ in ‘understanding of language’. The similarities between understanding of music and that of language induce the readers to turn their attention away from the ‘primary meaning’ which means to say that one sentence can be replaced with other sentences, to the ‘secondary meaning’ which means to say that one sentence can not be replaced with any other sentences. From the outcome of this argument, the present work also provides an evaluation of attempts to consider Wittgenstein’s accounts on music as a version of musical formalism.
한국어
이 논문은 전・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에 나타난 음악에 관한 수수께끼 같은 언급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철학에 나타난 음악과 언어의 비교의 역할에 대해서 해명하고자 한다. 비록 내용상 차이는 있지만, 전기에서 후기까지 비트겐슈타인은 음악과 언어 사이의 비교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비교에서 음악은 전・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론과 긴밀히 연결된 쉽고 친숙한 사례로 제시되고, 각각의 의미론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교육적 도구로 쓰이고 있다. 전기의 경우, 음악은 명제를 요소들의 배열로 이해해야 하는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상적인 비교 도구이다. 명제와 음악적 테마와의 유사성은 독자들의 관심을 언어의 지시적 기능으로부터 명제의 구조적, 배열적 측면에도 돌리게 하는데 유익한 도구가 된다. 후기의 경우, ‘음악의 이해’는 ‘언어의 이해’에서 ‘낱말의 의미-경험’이 갖는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상적인 비교 도구이다. ‘음악의 이해’와 ‘언어의 이해’ 사이의 비교는 한 문장을 “다른 한 문장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뜻”으로 말하는 ‘일차적 의미’로부터 그 문장이 “다른 어떤 문장으로 대체될 수 없다는 뜻”으로 말하는 ‘이차적 의미’에로 독자들의 관심을 돌리게 하는데 유익한 도구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로부터, 이 논문은 음악에 관한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음악적 형식주의로 해석하려는 시도들에 대한 평가도 함께 제시할 것이다.
목차
1.
2.
3.
4.
5.
6.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