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온라인 개학 중 학교현장실습의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e Factors with Online Practicum

임지현, 정도윤, 문예린, 변기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online practicum in the Kore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interviewed eight pre-service teachers and two in-service teachers and analyzed relevant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online practicum; class observations, conducting classes without students being physically present, low levels of feedback, and lack of counseling opportunities and alternative programs. However, through online-practicum,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acquire practical online-skills and assess their teaching aptitude. Factors affecting problems of online-practicum were (1) lack of basic government guidelines, (2) (2) lack of preparation for the emergency by the university(teacher training institution), (3) weak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practicum school, (4)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online class by a practicum school, (5) lack of active attitudes from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pecific guidelines are required for any online practicum an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play a faithful role in managing the quality of the practicum. Administrative supports for online classes are needed. Finally, exploring ways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an online-practicum is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개학 상황에서 진행된 학교현장실습의 문제점과 이를 초래 한 영향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1학기에 학교현장실습을 진행한 학생 8명과, 지도교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현장실습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문제점들은 주로 온라인 개학이라는 새로운 상황적 특성(예컨대 학생 없이 진행된 온라인 수업 참관과 시연, 비정상적인 수업 시연에 대한 교사 피드백의 유용성 저하, 온라인 개학 하에서의 학생 관리 및 상담 등 실무경험에서의 근본적 한계, 위기 상황 속에서 교사들의 업무 부담 가중)에서 비롯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들은 실습학교 와 지도교사의 온라인 수업과 학교 운영에 대한 준비 정도가 미흡할수록 더욱 증폭되어 나타났고, 특히 기존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던 해묵은 원인들(예컨대 짧은 실습기간, 교원양성 기관과 실습학교 간의 의사소통과 협력 관계 형성 미흡, 학교현장실습의 구성 및 운영방식에 대한 정부/교육청 차원의 구체적 지침 미비, 실습 지도 교사의 역량과 관심에 전적으로 좌우되는 실습 의 질 등)이 재난 상황을 계기로 더욱 증폭되어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향후 온라인 개학 중 학교현장실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몇 가지 고려사항들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 요약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현장실습의 시행방식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문제점
2. COVID-19로 인한 교육환경 변화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의 선정기준과 특성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연구자들의 특성
Ⅳ. 연구결과
1. COVID-19하에서 수행된 학교현장실습의 문제점
2. 온라인 학교현장실습의 문제점을 초래한 영향 요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지현 Lim, Ji-Hyun.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정도윤 Jeong, Do-yoon.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문예린 Moon, Ye-rin.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변기용 Byun, Kiyong.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