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생활스포츠지도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Life Sports Instructors

정철규, 이우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exhaustion, and turnover of life sports Instructors. The research targets were sele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Gyeonggi-do Cultural Center, and male and female adult life sports Instructor of clubs, and the final 2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trieved, and 271 data were us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intermed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tudies have shown that sports-for-all leaders suffer from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like workers in other service jobs, and that they are suffering from a vicious cycle of increasing turnover due to exhaustion of duties. In particular, role models and role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turnover, and internal and surface behavior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degree of turnover, but were completely covered by impersonation, reducing or increasing the degree of turnover. Therefore, policy support, ongoing observation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by agencies and managers on issues arising on the site are required in connection with the provision of full-time positions for sports leaders, mostly non-regular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생활스포츠지도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 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 문화센터 및 동호회 생활 스포츠지도자(배드민턴, 테니스, 탁구, GX, 필라테스, 요가, 에어로빅) 남녀 성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고 27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분석 방법으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스포 츠지도자는 다른 서비스 직종의 노동자들과 같이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고통 받고 있으며, 직무소진으로 인하여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악순환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역할모호 및 역할과부하는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나 비인격화 에 의해 완전매개 되어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근무하는 생활스포츠지도자들의 위한 정규직 마련과 관련하여 정책적인 지원,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기관 및 책임자들의 지속적인 관찰과 적절한 개입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연구모형 검증
Ⅳ. 논의 및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철규 Jung.Chulkyu. 경운대학교, 교수
  • 이우경 Lee.Wookyung. 경운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