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25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ollabuk-do, who are social worker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paper and pencil survey, and 237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was found that first, social capital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job-esteem. Second, social capital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y mediating job-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uture implications. First, in order to improve job performance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it is suggested to guarante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establishing networks for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Second, there is need to establish a supportive network for non-regular social workers, to assist in increasing pride in their jobs. Lastly, the current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implications related to information exchange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직업존중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사회복 지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그 가운데 237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은 직무성과와 직업존중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은 직업존중감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사회복 지사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축적을 위한 네트워크 참 여기회 보장과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지지적 네트워크 구축, 정보교류 및 활동 참여 와 관련한 실천 및 행정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함의 및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과 직무성과
2.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과 직업존중감
3.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직업존중감, 직무성과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검증
3. 측정모형분석
4. 구조모형분석
Ⅴ. 결론: 요약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