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엇모리장단 지도 방안 연구 -혼소박의 박 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제언-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for Eotmori Jangdan -Educational proposals for forming the beat concept of honsobak-

이장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onsobak jangdan with coexisting 3-sobak and 2-sobak as common beat has its own unique rhythm structure, an important jangdan type used for overall folk music. Recognizing the necessities to teach honsoebak jangdan in school field, it is suggested to instruct the musical pieces composed of Eotmori jangdan. However, there is no clear solution to the problems caused by jangdan educa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necessary for teaching Eotmori jangdan and establish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for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concept of jangdan. First, this study reconsidered the problem with the time signature method for Eotmori jangdan commonly marked as 10/♪. It would be necessary to unify to the time signature of presenting the denominator as a form of sobak composing one beat and the numerator as the number of sobak, based on the theory of sobak just like other jangdan types. Through this,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form of sobak through the time signature and include the Eotmori jangdan in a system of four beats. Moreover,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Eotmori jangdan, this study designed a step-by-step learning procedure to distinguish honsobak with the spatial area of Jeonggan. Through the analysis of jangdan patterns, students are ask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composed of irregular beats of 3·2·3·2. After forming the concept of honsobak, students are asked to examine various uses and characteristics of Eotmori jangdan through physical expression and instrumental performance on the janggu and gayage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 means to understand the traits of Eotmori jangdan composed of honsobak through activities of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studies on other honsobak jangdan types used in folk music are actively conducted, thus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nables jangdan instruction in more in-depth areas.

한국어

여느박으로 3소박과 2소박이 공존하는 혼소박장단은 고유한 리듬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민속악 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장단이다. 학교 현장에서도 혼소박장단 교육의 필요성 을 인지하여 엇모리장단으로 구성된 악곡을 지도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단 교육 시 야기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명확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엇모리장단 지도를 위해 필요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장단의 개념 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체득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먼저 10/♪으로 통용되는 엇모리장단의 박자 표기 방식의 문제점을 재고했다. 다른 장단과 같이 소박론에 의하여 분모는 1박을 이루는 소박의 형태, 분자는 소박의 개수로 제시하는 박자 표기 방식으로 통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하여 박자표로 소박의 구성 형태를 파악하고 4박의 박 체계에 엇모리장단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더불어 엇모리장단의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 혼소박을 정간의 공간 면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단계 별 학습 설계 절차를 고안했다. 장단꼴 분석을 통하여 3 · 2 · 3 · 2의 불균등박으로 이루어진 장단의 특징을 이해하도록 했다. 혼소박의 개념을 올바르게 형성한 이후에는 신체표현과 장 구, 가야금의 악기 연주를 통하여 엇모리장단의 다양한 쓰임과 특징을 체득하고 조사해 보도 록 했다. 본 연구는 혼소박으로 구성된 엇모리장단의 특징을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방편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들 수 있다. 앞으로 엇모리장단 외에도 민속악에서 쓰이고 있는 다양한 혼소박장단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서 보다 세부적인 영역의 장단 지 도가 가능한 교육 여건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엇모리장단 지도내용 분석
Ⅲ. 엇모리장단의 올바른 박 개념 형성을 위한 제언
Ⅳ. 엇모리장단의 지도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장원 Lee, Jang-Won. 충남 노성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