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plores the strategies of key-competence education for prospective Religion teacher(Christianity) while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directed in education of Korea after 2015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Project. To expound upon the theme, the meaning, categories and elements of key competence are discussed in the aspect of Christian education. Firstly, the meanings of key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re suggested as the knowledge, attitude and technique skills in college education level and the learning transferability and evaluation activity of achievement is included. The key-competences education in view of Christian education are discussed such as the education of improved ability of Christian lives, field compatibility of exhibiting Christian competence, and acceptance of educational change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erms of Christian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ree trends of key-competence education two foreign universities, education of Korean and the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A University are suggested. The educational purpose and aims of key-competence education for Religion subject(Christianity) prospective teacher are described. The strategies for cultivation of Religion subject (Christianity) prospective teacher in the department are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major curriculum of key-competence education, the management of non subject curriculum and the choice of key-competence of Religion subject of prospective teacher. In conclusion the continuous strategies of key-competence education oriented in career education are explored according to the choice and major curriculum and the connectivity of key-competence of Religion subject and major course of the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is explored.
한국어
본 연구는 교육부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발표한 후 초・중등・대학교육이 ‘역량중심교육’ 혹은 ‘역량기반교육’을 지향하여 나아가고 있는 것에 맞추어 종교교과(기독교)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교육의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핵심역량의 의미, 핵심역량의 범주 및 요소를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서술한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 핵심역량의 의미는 대학교육을 통해 길러지는 지식, 태도, 기술 등 종합개념 및 대학의 교수학습 조건과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 전이성(learning transferability)과 그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핵심역량교육이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그리스도인의 삶의 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사회현장에서 그리스도인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현장 적합성 교육, 기독교적 관점에서 학제간 연구를 통한 교육의 변화를 수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과의 ‘종교’교과(기독교)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함양의 방안으로 첫째, 핵심역량을 반영한 전공교육과정의 운영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과의 인재상, 기독교교육이 지향하는 방향, 기독교교육 전공교육과정의 목표를 소개한다. 또한 기독교교육과 전공교육과정에서 예비종교교사는 창의적 사고역량, 수업자료 개발 역량, 수업진행 역량을 갖추어야 함을 논의한다. 둘째, 비교과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은 인성역량, 영성역량, 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 글로벌역량, 학습역량 등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운영의 예를 제시한다. 셋째, 종교교과(기독교) 예비교사의 핵심역량은 기독교적 영성, 비판적 성찰 능력, 종교적 감수성으로 분류하여, 예비교사는 기독교영성을 갖추기 위해 하나님의 말씀 연구와 기도로 하나님과의 깊은 영적 관계가 형성되어야 함을 논의한다. 예비교사는 비판적 성찰 능력을 갖추어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종교의 개념, 종교의 발달, 종교의 기원, 종교에 분류, 종교에 대하여 이해함을 서술한다. 예비교사는 종교적 감수성을 지님으로 현대사회에서 종교의 가치를 이해하고 종교적 지식과 영적 민감성을 토대로 사회현상과 개인의 삶을 통찰할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한다. 결론으로 우리나라 대학의 핵심역량교육이 정부의 각종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에 따라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으로 핵심역량교육의 지속적 실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과 종교교과(기독교)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과 기독교교육과 전공과목과의 연계성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핵심역량의 의미와 범주 및 요소
1. 역량 및 핵심역량의 의미
2. 핵심역량의 범주 및 요소
III. 핵심역량교육의 동향
1. 외국 대학의 동향
2. 우리나라의 동향
3.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IV. 종교교과(기독교)예비교사 핵심역량교육의 논의
1. 교육목적 및 목표
2. 교육내용
3. 교수-학습 방법
4. 교수자와 학습자
V. ‘종교’교과(기독교)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함양방안
1. 핵심역량을 반영한 전공교육과정의 운영
2. 비교과교육과정의 운영
3. 종교교과(기독교)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선택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