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과서에 나타난 사이버 일탈 유형과 탐구 방법 분석 - 고등학교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Cyber Deviation Types and Inquiry Activity Methods in Textbooks - Focusing on the General Social Domain of High School -

주주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cyber deviance shown in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and to propose a point of discussion for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related to cyber deviance. To this end,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integrated society’, ‘politics & law’, and ‘society & culturel’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 types of cyber deviance covered by textbooks and methods dealt with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all the subjects of ‘integrated society’, ‘politics & law’, and ‘society & culturel’ textbooks, three units were found to includ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yber deviance. Second, cyber deviance differed in the frequency and content of each textbook in ‘integrated society’, and inquiry activities were evenly distributed in data analysis, decision-making, and student activity, and closed questioning and open questioning were presented in harmony. Third, overall, cyber deviance was treated very little in ‘politics & law’, and inquiry activities relied mainly on text, most of the learning data confirmation types and data survey types, and closed-type footprin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Finally, in society & culture textbook, certain types of cyber deviance were mainly dealt with according to textbooks, and cyber deviance was frequently dealt with not only in the text but also in inquiry activities. There was not much deviation between textbooks, and there was a uniform distribution of learning content confirmation, decision-making, and student activit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textbook proposed discussions on how to deal with cyber deviance, perspectives, teaching methods, etc.

한국어

본 연구는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사이버 일탈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사이버 일탈관련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논의 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합사회, 정치와 법, 사회⋅문화 교과서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에서 다루는 사이 버 일탈의 유형과 탐구활동에서 다루는 방식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통합 사회, 사회문화, 정치와 법 과목에서 사이버 일탈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포함하고 있는 단원은 각각 3 개 단원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통합사회 과목에서 사이버 일탈은 교과서마다 다루는 내용과 빈 도에 있어서 차이가 많았고 탐구활동은 자료 분석형과 의사결정형, 학생 활동형이 고르게 분포하였으 며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이 조화롭게 제시되었다. 셋째, 정치와 법 과목에서는 전반적으로 사이 버 일탈이 적게 다루어지고 있었고 탐구활동은 주로 텍스트에 의존하며 학습자료 확인형과 자료 조사 형이 대부분이고 발문은 폐쇄형 발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 교과서에서는 사이 버 일탈의 유형이 교과서 간 편차를 보이며 교과서에 따라 일정 유형이 주로 다루어지기도 하였으며, 본문내용뿐만 아니라 탐구활동에서도 사이버 일탈이 빈번하게 다루어졌다. 교과서간 편차가 크지 않으 며 학습내용 확인형, 의사결정형, 학생 활동형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위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과 서에서 사이버 일탈을 다루는 방식과 관점, 수업 방법 등과 관련한 논의점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사이버 일탈과 디지털 시민성 관련 이론적 접근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주주자 Ju, Ju Ja. 경기도용인교육지원청 장학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