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영화 <말아톤>에 재현된 자폐성 장애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Images of People with Autistic Disability Represented in the Korean Film “Marathon”

김세령, 남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rathon”(2005) was the first Korean film to bring about an improvement in social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people with autistic disability. By analyzing the meaning of linguistic and visual expression, and the narrative in “Marathon” using an interdisciplinary method which converges cultural studies and disability studies, this study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 of people with autistic disability in “Marathon” and clarify the tasks that remain to make a society in which people with autistic disability are not excluded from film and reality. Based on my research I argue that “Marathon” criticizes social prejudice against autistic disability and shows the process of efforts to fully understand autistic disability beyond the misunderstanding caused by opposing oppositional perceptions and representations. Through the narrative of mutual growth of people with the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ilities, the film meaningfully reproduces the right of people with autistic disability to self-determination and communication as a member of society. In spite of this significant representation of rights and communication, in “Marathon”, people with autistic disability are described as too pure or excellent, and the film displays a very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independence that can be gained through inclusive educ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addition, social inclusion beyond personal socialization still remains a challenge.

한국어

<말아톤>은 자폐성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 개선을 이끌어 낸 최초의 한국 영화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에 여러 분야의 연구를 통 해 이 영화의 다층적 의미가 규명되었지만 영화 속 자폐성 장애인 재현에 대한 예각화된 분석과 총체적 평가는 미비했다. 본고는 문화 연구와 장애 학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연구를 통해, <말아톤>의 주요 언어와 영상 표 현, 서사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말아톤>에 재현된 자폐성 장애 인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영화와 현실에서 자폐성 장애인이 배 제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개선해야 할 과제를 밝히는 것을 그 목 표로 한다. 연구결과 영화 <말아톤>은 자폐성 장애에 대한 이항대립적 오해를 바로잡고 장애인 인식 개선의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장애 인과 비장애인의 동반 성장 서사를 통해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사회구 성원으로서의 소통을 의미 있게 재현해 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 전히 영화와 현실에서 발견되는 한계와 과제들이 있다. 자폐성 장애인을 지나치게 순수하거나 탁월한 존재로 묘사하거나 통합교육, 직업재활을 통한 자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개인적 사회화를 넘어선 사회통합도 과제로 남는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며
2. 자폐성 장애에 대한 이항대립적인 오해 바로잡기
3.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반 성장 서사가 갖는 의미
4. 영화와 현실 속 남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세령 Kim, Se-ryoung. 호서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과 부교수
  • 남세현 Nam, Se-hyun. 한신대학교 재활상담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