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남원 윤씨 열행 기록 「애종용(哀從容)」 연구 - 여성 중심 관계성과 유서 언어의 번역 불가능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Ae Jong Yong(哀從容), Focusing on the Female-Centered Relationships in Madame Yoon’s Suicide Notes and the Inability to Translate the Language of Suicide Notes

홍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wo texts in Ae Jong Yong(哀從容, meaning “being obedient in sorrow”), the late 18th century fidelity record of a virtuous madame of the Namwon Yoon family. The two texts are "Eon Haeng Rok(言行錄)" in which male noblemen record Madame Yoon's life as the narrative of virtuous woman, and nine "suicide notes" that Madame Yoon herself left behind. These two texts show the truths of different lives. In "Eon Haeng Rok," Madame Yoon is portrayed as a stereotypical virtuous woman and her life is recounted with her relationships with her father and husband as the most important. In comparison, in her nine ‘suicide notes’ Madame Yoon's own record, the women around her, that is the wives of her husband's brother and her maids, are highlighted as the most important people in her life. In particular, Madame Yoon asked repeatedly in all of her suicide notes that her maid, Jeomyeol, her daughter and granddaughter be set free from the lowest class to live as commoners. Yoon also personally left suicide notes to Jeomyeol and her daughter to express her special affection, trust and fellowship to them, and to promise that she would guarantee their descendants could live as commoners through her suicide notes. This shows the difference, in a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between the narratives that men recreated of a woman's life and that the woman herself left of her own life. In the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relationships between women were considered unsuitable for moral subjects such as the virtuous woman, they were invisible socially, and seen to be meaningless. However, Madame Yoon’s suicide notes, were focused on woman-oriented relationships which were considered socially unworthy and unimportant. I propose that it was for this reason that the original copies of Madame Yoon's suicide notes in Korean were lost and remain only in Chinese translation. In addition, I contend that as reflective material on the experience of a woman dying after her husband itself, it was impossible for Madame Yoon’s suicide notes to delivered or translated. This paper consiers, invisible woman-oriented relationships, the dual linguistic system surrounding the words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problems of the inability to translate the language in suicide notes.

한국어

이 논문은 18세기 후반 남편을 따라 죽은 순절 열녀인 남원 윤씨 (1768~1801)의 열행 기록인 「애종용」에 실려 있는 생애 기록 ‘언행록’과 윤 씨의 ‘유서’를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해 남성 사대부의 여성 재현과 여성 스스로의 자기 생애 서사 사이의 거리와 의미를 주목하였다. 특히 「애종 용」 속 남원 윤씨의 유서는 한글 원본 없이 한문 번역본으로만 남아있는 데 이 두 자료의 비교를 통해 비가시화된 여성 중심 관계성, 조선후기 여 성의 말을 둘러싼 이중의 언어 체계, 유서 언어의 번역 불가능성의 문제 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언행록’은 윤씨를 정형화된 열녀의 모습으로 그리고 있으며 가장 중요 한 인물인 부친과 남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재현한다. 이에 비해 윤씨 자신이 남긴 기록인 ‘유서’ 9통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로 부각되 는 것은 주변의 여성들, 즉 동서와 여종들이다. 특히 부친을 비롯한 친지 에게 남긴 유서에서 공식적인 어조로 사후의 부탁을 전달하는 것에 비해동서와 여종에게 준 유서에는 자신의 고통스러운 심경, 상대에 대한 걱정, 유언의 실행 방법 등을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윤씨는 모든 유서에서 여종인 점열 모녀 삼대의 면천을 가장 큰 유언으로 남기면서, 자기 사후 이들을 멀리 떠나서 살게 할 것, 점열의 손녀 금이의 완전한 속 량을 자신이 보증할 것을 거듭 확언한다. 이러한 유서의 생애 재현은 그 의 생전의 삶이 일상 속에서 보살핌을 공유하는 여성 중심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남성 중심의 지배 사회에서 여성 중심 관계성은 열녀와 같은 도덕적 주체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 사회적으로 가시화되거나 의미화되지 않는 것이었다. 언행록과 윤씨의 한역(漢譯) 유서는 여성의 언어와 생애 재현을 둘러싼 이중의 억압을 보여주며 나아가 순절이라는 여성 경험의 궁극적 번역 불가능성을 나타낸다고 분석하였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언행록(言行錄)」- 남성적 시선의 개입과 여성 삶의 공적 재현
3. 유서들- 여성 중심 관계성에 기반한 비공식적 자기 생애 서사
4. 결론- 비가시화된 여성 중심 관계성, 그리고 열녀 유서의 궁극적번역 불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인숙 Hong InSook.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