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student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students in G-do, from March 15th to April 30th, 2019. Analysis was done using IBM SPSS 21.0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subjects’ moral self was 3.39, moral behavior was 3.72, self-control was 3.68, empathy was 3.53,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3.69,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90. Nursing professionalism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was major satisfaction - ‘satisfied’ (β=.232, p =.002), followed by empathy (β=.222, p =.003)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β=.178, p =.016). The explanatory power was 18.5% (F=13.69, p <.001). Therefore, a program promoting major satisfaction,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 customized program considering personality and department adaptation are needed for establishment and enhancement of nursing professionalism. Uti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basic data for nursing professionalism enhancement program and study confirming enhancement is expected.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간호대학생 16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15일부터 4월 30일이며, IBM SPSS 21.0 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사 용하였다. 도덕적자아는 3.39점, 도덕적행동은 3.72점, 자기통제력은 3.68점, 공감은 3.53점, 대인관계능력은 3.69점, 간호전문직관은 3.90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 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은 전공만족도-만족함(β=.232, p=.002), 공감(β=.222, p=.003), 대인관계능력(β=.178 p=.016)순 이었다. 설명력은 18.5%이었다(F=13.69, p<.001). 간호전문직관 향상과 올바른 확립을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공감,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성격과 학과적응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는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확인하는 추가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및 방법
2.5 윤리적 고려
2.6 자료분석
2.7 연구의 제한점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제 특성
3.2 도덕적 자아, 도덕적 행동, 자기통제력, 대인관계능력, 간호전문직관
3.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도덕적 자아, 도덕적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 간호전문직관
3.4 도덕적 자아, 도덕적 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
3.5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