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감 관련 활동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Empathy-related Activitie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of Middle School

박가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tivities related to empathy that appear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is, analysis was conducted on eight types of textbooks to figure out which contents are covered in the empathy-related activities, how much portion of them 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have respectively , and which stage of social empathy encompasses the social empathy-related activity of the textbooks.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twenty five empathyrelated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four units and although there were contents which can address empathy-related activities in all the textbook, the activities were covered only in some textbooks. Observations of empathy types show that twenty out of twenty five activities are cases that deal with personal empathy and only five were those of social empathy. Also, most of the five cases correspond to level 3 ‘experience’in social empathy stage. As educational needs for empathy is growing, empathyrelated activities should be dealt with more actively in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al with empathy-related activities in processes that deal with a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groups and in particular, resolution of social conflict and issues of particular group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공감 관련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 인 연구문제를 3가지 설정하였다. 공감 관련 활동이 어떤 내용과 관련하여 나타나고 있고, 공감의 유형으로 볼 때 개인적 공감과 사회적 공감이 어떤 비중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사회적 공감을 다루는 활동은 사회적 공 감의 단계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현행 8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4개의 단원에 총 25개의 공감 관련 활동이 제시되어 있었는데, 내용별로 볼 때 모든 교과서가 공감 관련 활동을 제시하는 내용 (역할갈등)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몇몇 교과서에서만 다루는 등 교과서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공감의 유형 별로 볼 때, 25개 중 20개가 개인적 공감을 다루는 사례이고 5개만 사회적 공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공감을 다루는 5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사회적 공감의 단계(노출, 설명, 경험)를 확인해보았을 때 다수의 사례는 3단계 즉 경험 단계에 해당하는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공감의 교육적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사 회과 교과서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공감 관련 활동을 다룰 필요가 있으며, 타 문화나 타 집단에 대한 이해, 특히 사회적 갈등이나 특정 집단의 문제, 불평등의 문제를 다루고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공감 관련 활동 을 포함시켜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공감의 의미와 필요성
2. 공감의 유형 : 개인적 공감과 사회적 공감
3. 사회과교육과 공감
III. 분석대상 및 방법
IV. 분석결과
1. 단원별 공감 관련 내용 확인: 중학교 사회 교과서속 공감 활동 관련 내용은 무엇인가?
2. 공감의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 제시된 공감은 어떤 유형의 공감인가?
3. 사회적 공감 활동의 단계: 사회적 공감 활동은 각각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가나 Park, GaNa. 숙명여자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