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 협력이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Collaboration toward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Burnout

박현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collaboration toward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and mean of teacher collaboration is 3.78 points in five-point scale, so exceeds the general level. Cognitive level by sub factors of teacher collaboration by background variables h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working period and an experience working at an innovation school. Second, grand mean of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3.72 points in five-point scale, so is higher than the general level. Cognitive level by sub factors of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background variables h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working period and an experience working at an innovation school. Third, grand mean of teachers’ burnout is 2.50 points in five-point scale, so is lower than the general level. Cognitive level by sub factors of teachers’ burnout by background variables h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working places, working period and a position as a homeroom teacher. Forth,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er collaboration has a meaningful and positive effect o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effects of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ave 70.8% of explanation power. Fifth,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s’ burnout. Teacher collaboration has a meaningful and negative effect on teachers’ burnout. The effects of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s’ burnout have 18.1% of explanation power.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 협력문화가 최근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교사학 습공동체와 교사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8주 동안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07부의 자료에 대하여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협력과 교사학습공동체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사 협력은 교사학습 공동체 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교사 협력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동료학습 기회, 목표 공유 및 지원체제, 인간적인 관계, 학교장 리더십이 교사학습공동체 수 준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교사 협력과 교사소진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사 협 력은 교사소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 협력의 하위 요인 중 인간적인 관계, 학교장 리더십, 부정적 상호작용이 교사소진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 과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수준을 높이거나 교사소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 협력의 특정한 요인들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 협력
2. 교사학습공동체
3. 교사소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 처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교사 협력문화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2.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3. 초등교사의 교사소진
4. 교사 협력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미치는 영향
5. 교사 협력이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현진 Park, Hyeon Jin. 강원 고한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