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및 수업 자율성의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and Class Autonomy

고윤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uth korea curriculum is a top-down curriculum in which the national curriculum affects the management of the class curriculum.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decentralize the decision of curriculums that delegate autonomy to teachers and give autonomy to teachers. Teachers also tried to show their autonomy by operating curriculums and classes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level of autonomy among teachers in curriculums and class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urriculums by type of implementation. The district targeted 14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onducted an Internet survey for a week.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level of curriculum and class autonomy as quite high. Secondly, the group that developed the curriculum with students modified the given curriculum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and recognized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and the autonomy of the classes more than the group that implemented the curriculum. Thirdly, the autonomy of classes was on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s in each area. Fourthly, the group that develops curriculums with students or corrects given curriculum materials according to the situation has shown a tendency to actively revise the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rather than the group that uses given curriculum materials. This led to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awareness and what kind of policy support is needed in order for teachers to actually the autonomy of teachers.

한국어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과정이 교실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주는 하향식 교육과정 체계이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들에게 자율권을 이양하는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 를 추진하며 교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시도를 해왔다. 교사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과 정과 수업을 운영하며 교사에게 있는 자율성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사들이 교육과정과 수업에서 자율성을 어느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실행 유형 별 교육 과정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교사 141명을 상대로 진행하였으 며, 1주간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 및 수업 자율성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과 함께 교육과정을 개 발하는 집단이 주어진 교육과정 자료를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집 단보다 교육과정 자율성과 수업 자율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의 각 영역에 서의 적극적인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 자율성이었다. 넷째, 교육과정을 학생과 함 께 개발하거나 주어진 교육과정 자료를 상황에 맞게 수정하는 집단이 주어진 교육과정 자료 를 사용하는 집단보다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방법을 적극적으로 수정하는 경향 을 보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교사의 자율성의 실제적인 발휘를 위해 인식 개선의 방향과 어 떤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지를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과정 자율성과 수업 자율성
2. 교육과정 실행 유형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Ⅳ. 연구 결과
1. 교육과정 및 수업 자율성에 관한 인식과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
2. 교육과정 실행 유형별 교육과정 영역의 수정 실태 분석
3.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장애요인과 지원 방안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윤미 Ko, Yunmi. 군산 구암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