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교사가 경험한 전북 혁신교육

원문정보

Jeonbuk Innovative Educat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Teachers

박승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interpret, and evaluate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practiced innovative education in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ve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utilized research method was educational criticism. The following were experienced by participants. First, a peer or a senior teacher takes central role in spreading innovative education to another teacher. Second, teachers are having an experience that influences their life as a teacher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innovative education. Third, the presence of cooperative culture among teachers is the key factor to draw a line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non-innovative schools. Fourth, teachers who practice innovative education work hard to overcome textbook-centered teaching. Fifth, process-centered evaluation is not spreading in middle schools. Sixth, the reproduction of an experience of innovative education is not successful while the language of innovative education has been spreading. Seventh, it is unreasonable to use a standardized test score to judge whether an innovative middle school is successful or not. Eighth, teachers working at Jeonbuk innovative middle schools are achieving what they wanted. Ninth, it is more critical to train innovativ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an to increase the number of innovative schools. The importance of these nin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s evaluated and discussed, and a suggestion for policy makers is mad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혁신교육을 실천한 전 북 중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기술․해석․평가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5명이었고, 연 구방법은 교육평설이었다. 참여자들의 경 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 은 동료나 선배의 권유로 혁신교육을 경험 한다. 둘째, 혁신교육을 경험하면서 교사들 은 자신의 교직인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상적인’경험을 하고 있다. 셋째, 혁신 학교와 비혁신학교의 차이를 교사 간 협업 문화의 유무로 생각하고 있다. 넷째, 혁신 학교 교사들은 교과서를 던지기 위해 노력 하고 있다. 다섯째, 중학교에서 과정중심평 가는 아직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여섯째, 혁신교육의 용어는 확산되었으나 체험의 복제는 아직 미진하다. 일곱째, 혁신중학교 에 학력신장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부당하 다고 인식하고 있다. 여덟째, 전북혁신교육 은 나름 성공을 거두고 있다고 자평하고 있다. 아홉째, 혁신교육의 지속을 위해서는 혁신학교수를 늘리기보다 사람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의 이 러한 9가지 경험의 중요성을 평가하고 논 의한 다음 혁신교육을 지속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1. 연구방법
2. 연구 참여자
3. 면담일정
4. 면담방법
Ⅲ. 전북 중학교 교사들의 혁신교육 경험에 대한 기술 및 해석
1. 혁신학교 또는 혁신교육 경험 계기
2. 혁신학교는 ‘인상적인’ 경험을 하는 곳
3. 혁신학교와 비 혁신학교의 차이
4. 교과서를 던지기 위한 몸부림
5. 과정중심평가, 가야할 먼 길
6. 용어는 확산, 그러나 체험의 재생산은 아직
7. 혁신학교는 학력신장에 소홀하다는 풍문에 대한 해명
8. 혁신교육에 대한 자평
9. 혁신교육을 지속하기 위한 고언
Ⅳ. 전북 중학교 교사들의 혁신교육 경험에 대한 평가 및 논의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승배 Park, Seungbae.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