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이크로 러닝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Micro-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배재홍, 신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using micro-running. To this end,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class were produced in three forms: micro-learning, existing e-learning, and handouts, to compare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ffect for college students at Y and K universities located in K-do. First, when using learning materials in the form of micro-learning, learning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Second, the learning effect was effective for both e-learning and micro-learning. And micro-learning was more effective when both types of learning material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look forward to activating micro-learning in university by researching micro-learning of the new learning type that emerged as a social phenomen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icro-learning and presenting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을 이용한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업의 학습 자료를 마이크로 러닝, 기존의 이러닝, 유인물 형태의 세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K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 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를 비교하였다. 첫째, 마이크로 러닝 형태의 학습 자료를 이용할 때 학습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효과는 이러닝 형태와 마이크로 러닝 모두 효과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형태의 학습 자료를 모두 이용한 경우는 마이크로 러닝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현상으로 등장한 새로운 학습 형태인 마이크로 러닝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와 마이크로 러닝 학습의 중요 성을 부각시켜 대학 내에서 마이크로 러닝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실험도구
2.3 실험절차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3.3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3.4 학습효과에 미치는 효과
3.5 추가분석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배재홍 Jae-Hong Bae. 한국폴리텍대학 울산캠퍼스 교양과 교수
  • 신호영 Ho-Young Shin.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