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s of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to mental distress and self-rated health. Data of 19,856 adult drinkers over 19 years of age and older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evalu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isks of experiencing perceived high 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thoughts were higher in alcohol use disorder group in male, whereas the risks were higher in both alcohol use disorder and hazardous drinking groups in female, reflecting higher susceptibility to mental distress. In both male and female, former drinkers presented poor self-rated health compared with low-risk drinkers, although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valence of mental distress. Special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measures for female drinkers are required, and former drinkers are suggested to be assessed separately from never or low-risk drinkers for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한국어
본 연구는 성인 음주자의 음주 패턴과 정신건강 및 주관적 불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민건강 영양조사(2010~2013)의 19세 이상 성인 음주자 19,85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였다. 저 위험 음주를 기준으로 했을 때 남성은 알코올 사용장애에서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및 자살 생각을 경험할 위험이 높았 고, 여성은 알코올 사용장애 뿐만 아니라 위험 음주에서도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및 자살 생각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 남성보다 음주 문제로 인한 정신건강의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남녀 모두 과거 음주는 저위험 음주와 비교했을 때 정신건강 손상의 위험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주관적으로 불건강하다고 평가할 위험은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유해 음주자를 조기 선별하여 신체와 정신 건강 상태에 대한 포괄적 평가와 함께 여성 음주자를 위한 차별화된 정신건강 관리대책이 필요하고, 과거 음주를 비음주나 저위험 음주로부터 분리하여 신체 및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위험음주
3.2 성별 음주 패턴, 정신건강 상태, 주관적 불건강상태의 차이
3.3 성별 음주 패턴에 따른 정신건강과 주관적 불건강 상태
3.4 성별 음주 패턴과 정신건강 및 주관적 불건강 상태의 연관성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