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를로-퐁티의 『행동의 구조』를 통해 살펴본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개념 - 의미 체험의 요소, 상황, 그리고 구조 -

원문정보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 Its Elements, Situation, and Structure of Lived-Experience -

신호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academic interests in 'qualitative research' are raised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This trend is active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mong them, the movement to fi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methodic ba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phenome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Unfortunately, we cannot say that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elucidated satisfactorily enough. In general, ‘quality’ is understood as ‘subjective experience’, but this is too loose and rough definition so that it does not help at all.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clarify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In this regard, Merleau-Ponty’s The Structure of Behavior has great inspiration. Because there he critically criticise the limitations of objective science centered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clearly shows what the science dealing with lived-experience should be, what the science has to do with phenomenology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will clarify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suggested by Merleau-Ponty b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Behavior. In these procedure, I will show that Merleau-Ponty’s Gestalt accords with Husserl’s multi-layered constitution, so that I can suggest a framework for research that qualitative research dealing with experience.

한국어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점차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발한데, 그중에서도 질적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적 기초를 ‘현상학(phenomenology)’에서 찾으려는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현상학적 질적연구’에 관해 중요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져 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개념은 좀 더 해명이 필요한 것처럼 보인다. 대체로 ‘질’은 ‘주관적 체험’ 정도로 이해되고 있는데, 필자는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현상학을 통해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개념이 좀 더 분명해지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고는 『행동의 구조』에서 제시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통해 ‘현상학적 질적연구’ 개념의 정립에 기여하려는 데에 있다. 이 과정에서 메를로-퐁티의 ‘배경 위의 꼴’로서의 ‘게슈탈트’가 후설 현상학의 ‘구성적 층 이론’과 조화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질적 연구가 체험을 다룰 때에 의지할 수 있는 연구의 착안점과 기본틀을 제안할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서언
2. 객관과 주관의 대립 너머의 근원적 체험
3. ‘객관과학의 규정’으로서의 질과 ‘현상학적 의미체험’으로서의 질
4. ‘질적 체험’을 구성하는 의미의 ‘요소’
5. ‘질적 체험’을 구성하는 의미의 ‘상황’
6. ‘질적 체험’을 구성하는 의미의 ‘구조’
7.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호재 Shin Ho Jae.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