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strengthen maternal role adaptation of employed mothers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maternal role adaptation of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venience extracts from 137 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under 24 months of residence in H city, Gyeonggi-do. Data were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maternal role adap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 attachment(r=.488, p <.001) and social support(r=.718, p <.001). Social support(β =.616), baby status at birth(β =.123), current breastfeeding status(β =.127) and maternal attachment degree(β =.141) affect the maternal role adaptation of employed mothers. The explanatory power of regression analysis was 55.5%(F=43.487, p <.001). As a result of the stud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maternal role adaptation of employed mothers.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social support in families, workplaces and communities are required for maternal role adaptation to employed moth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 강화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H시 거주 24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 모 137명으로 편의추출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 과, 모성역할적응은 모아애착(r=.488, p <.001), 사회적지지(r=.718, p <.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취업모의 모성 역할적응에는 사회적지지(β =.616), 출생 시 아기상태(β =.123), 현재 모유수유 여부(β =.127) 및 모아애착정도(β =.141) 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55.5%(F=43.487, p <.001)이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진바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을 위해 가족, 직장 및 지역사회에서의 사회적지지 강화를 위한 다양한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3 연구도구 및 측정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
3.2 연구대상자의 모성역할적응, 모아애착 및 사회적지지 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성역할적응, 모아애착 및 사회적 지지 정도의 차이
3.4 모성역할적응, 모아애착 및 사회적 지지 의 상관관계
3.5 모성역할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