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

원문정보

Implications of J. Pieper’s ‘Leisure’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정보영, 최지연, 이건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Josef Pieper's concept of ‘Leisur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y focusing on related literature.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existing discourse or traditional discourse on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J. Pieper's ‘Leisure’?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J. Pieper's "Leisure"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eisure(scholar),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uld be viewed as ‘the whole person’, ‘the way of life’ or ‘the artificial world’, and ‘laborious works’. Second, the implications of J. Pieper's ‘Leisure’ on Practical Arts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in two terms: the establishment of inquiry objects and inquiry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meta-prax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quiry objects and inquiry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identified together.In addition, when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teach the whole person as a state of mind as a whole,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seek to develop an eye to look at the world as a whole by understanding and internalizing the nature of the way of life or the artificial world as a practice through laborious works. Second, the value of laborious work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needs to be emphasized. Laborious works has true educational value when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praxis) which understands the world based on physical activity. Third, Practical Arts’ instructions reflect the teacher's life and experience. Since the teacher's life reflected in the instructions is passed on to the students, the Practical Arts’ instructions can be said to exemplify the teacher's internalized way of life. In addition to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perform follow-up studies focusing on the methodological aspects of clarifying this in the instructions and enabling the inclusion of the intrinsic value of laborious works in the Practical Arts instruction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Josef Pieper의 ‘여가’의 개념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실과교육학 에 주는 함의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첫 째, 실과교육학에 대한 기존의 담론, 또는 전통적 담론은 무엇인가?’, ‘둘째, J. Pieper의 ‘여가’의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 다. 문헌 고찰을 위해 J. Pieper의 ‘여가’와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문헌연구의 관점을 설정하였 고, 이러한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두 가지로 요약하면 첫째, 여가(스콜라)의 관점에서 실과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은 각각 전인, 생활양식 또는 인공세계, 노작으로 볼 수 있었다..둘째, J. Pieper의 ‘여가’가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로는 실과교육학의 탐구 대상과 탐구 방법의 정립, 실과교육의 메타프락시 스적 성격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얻은 결론으로는 첫째, 실과의 탐구 대 상과 실천 방법은 함께 파악되어야 한다. 즉, 실과의 탐구 대상인 생활양식 또는 인공세계에 대한 이해와 노작으로서의 실천 방법은 하나의 통합적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둘째, 실과교육에서 노 작의 가치가 강조될 필요가 있다. 노작은 신체적 활동을 바탕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실천(praxis) 의 관점에서 이해될 때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셋째, 실과 수업에는 교사의 삶과 경험이 반 영된다. 수업 속에 반영된 교사의 삶은 학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므로, 실과 수업은 교사가 내면화 한 삶의 방식을 모범(시범)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 덧붙여 연구자는 이를 실과 수 업 속에서 구체화하고 실과 수업에서 노작의 본질적 가치를 담아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적 측면의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Ⅱ. 실과교육학에 관한 전통적 담론
1. 실과교육의 목적
2. 실과교육의 내용
3. 실과교육의 방법
Ⅲ. J. Pieper의 ‘여가’
1. J. Pieper의 ‘여가’의 성격
2. J. Pieper의 ‘여가’의 목적: 지복
3. J. Pieper의 ‘여가’의 내용: 실재
4. J. Pieper의 ‘여가’의 방법: 관조
5. 논의
Ⅳ. 여가(스콜라)의 관점에서 본 실과교육
1. 실과교육의 목적: 전인
2. 실과교육의 내용: 생활양식 또는 인공세계
3. 실과교육의 방법: 노작
4. 실과교육학에 주는 함의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보영 Chung, Bo Young. 부천창영초등학교
  • 최지연 Choi, Ji Yeon. 한국교원대학교
  • 이건남 Lee, Gun Nam.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