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우계학 연구 성과와 전망>

우계 성혼의 교육사상 연구의 경향과 전망

원문정보

Trends and Prospects of Woogye Seong-hon's Educational Philosophy

임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ong-hon (成渾) is the scholar and educator of Dohak (Confucian ethics 道學) spirit, succeeding the family scholarship (家學). He guided his disciples through exemplary life rather than teaching by books and words. In addition, he established WoogyeSeoshil (牛溪書室) and conducted education to identify the disciples'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reinforce the gap. Seong-hon not only taught WoogyeSeoshil's students poetery, books, decorum, and music, but also give them to see nature by escaping from the study room. He let them take a leisurely walk in the stream near Seoshil. This atmosphere of WoogyeSeoshil, coupled with the political currents and events of the time, may be one of the reasons for Seong-hon literati's interest in various fields. Seong-hon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emperament (氣質)in ma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to correct the deviation of temperament. He saw that education and learning can overcome differences in temperament. By removing the cloudy dignity ( ), the ethical doctrine (性善) that originally existed was revealed, and education was attempted to realize the society made by the member who restored the Seong (性) of the inherent nature (本然). Seong-hon said a total of 23 books, including Confucianism scriptures (儒家經典), scriptures of Sung Confucianism (性理書), and the Four Books of China (史書). He especially focused on studying ““Daehak””, which leads to Gyeong (reverence)-oriented self-cultivation theory and the respect and worship of Lee Hwang (李滉). Gyeong (reverence 敬) is based on not only the fundamental spirit of Ye (etiquette 禮), but also the domain of the discipline Seongui (誠意) – Jeongshim (正心) and statecraft (治國) - tranquility of the world (平天下) in terms of the domain of statemanship (治人). According to Seong-hon, teachers and friends do not make me into another person or become a sage (聖人). No matter how good a teacher or friend is, me is a different one from them. I think this idea of Seong-hon's played a part in not making the Woogye sect dogmatic. His literati went their way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situation or their own inclinations. One such example is the claim of Cheokhwa (hostile settlement ) and Ganghwa (amicable settlement ). During the Japan Invasion in Year Imjin (1592), Seong-hon joined the position of amicable settlement with Yu Seong-ryong (柳成龍), which then bought King Seonjo's anger. At the time of the First Manchu Invasion in Year Jeongmyo (1627), his literati Lee Gui (李貴), along with Choi Myeong-gil (崔鳴吉), insisted on an amicable settlement, but the other literati, Yun Heun (尹) and Yun Hwang (尹煌) strongly opposed Ching for amicable settlement. The researchers also would link Seong-hon's reform policy drive with the late Joseon’s Sirhak-sect on Seong-hon and disciples (sect-school connection) trends, and would claim that some figures in the Seong-hon school connection had a tendency to move on to new fields of study without hesitation. Seong-hon was kind to his family and looked after the difficulties of his subordinates. This means that he is a sympathetic and communicative person. The causes of modern society's problems are not simple, but one of them might be empathy and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e way Seong-hon has walked is expected to provide clues that can be used practically in modern education.

한국어

성혼(成渾)은 家學을 계승하며 道學 정신을 지향한 학자이며 교육자다. 그 는 책과 말로 하는 가르침보다는 모범적인 삶을 통해 제자들을 지도하였다. 또한 우계서실(牛溪書室)을 세워 제자들의 개인 차이를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 을 보강해 주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성혼은 우계서실의 학생들에게 詩書와 禮樂을 익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부방에서 벗어나 자연을 보게 하였는데 서실에서 가까운 시냇가에서 한가로이 거닐게 하였다. 이런 우계서실의 분위 기는 당시 정치적 흐름이나 사건과 맞물려 성혼 들이 다양한 분야에 관 심을 갖게 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성혼은 사람에게 의 차이가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기질의 편벽성을 바 로잡아야 하는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그는 교육과 학문을 통한 수양으로 기 질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혼탁한 을 제거하여 원래 존재하 는 이 드러나고, 의 을 회복한 구성원이 만드는 사회의 실현을 교 육을 통해 시도하려고 한 것이다. 성혼은 마땅히 읽어야 할 책으로 儒家經典, 性理書, 중국의 史書 등 총 23책을 말하였다. 그는 특히 『대학』 공부를 중시했는데 이는 敬 위주의 수양론 과 李滉에 대한 존숭의 마음으로 연결된다. 敬은 禮의 근본정신일 뿐만 아니라 誠意‧正心 이라는 修己의 영역과 治國‧平天下 라는 治人의 영역에서도 바탕 이 되기 때문이다. 성혼은 스승과 벗이 단박에 나를 다른 사람으로 만들거나 聖人이 되게 하 지는 못한다. 아무리 스승과 벗이 훌륭해도 나와 다른 존재임이기 때문이다. 성혼의 이런 생각이 우계학파를 교조적으로 만들지 않는데 한 몫을 하였다고 본다. 그의 문인들은 정치적 상황이나 각자의 성향에 따라 자신의 길을 갔다. 그런 예 중 하나가 와 의 주장이다. 임진왜란 때 성혼은 柳成龍과 함 께 강화의 입장에 섰다가 선조의 노여움을 샀다. 정묘호란 당시 그의 문인 는 과 함께 강화를 주장하였으나 다른 문인 과 은 청나라와 강화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연구자들은 그 밖에 성혼과 제자(학파‧학 맥)의 경향에 대해 성혼의 개혁적 정책 추진을 조선후기 실학파와 연결 짓기 도 하고, 성혼 학맥의 인물들이 새로운 학문 분야에 주저 않고 나아가는 경향 성이 있다고 진단하기도 한다. 성혼은 가족에게 다정하고 아랫사람의 어려움을 살폈다. 이는 그가 공감하 고 소통할 줄 아는 사람임을 의미한다. 현대사회 문제들의 원인은 단순하지 않지만 그 중 하나를 꼽는다면 공감과 소통일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성혼이 걸어온 길이 현대 교육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목차

논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이상적 인간상과 이상사회
3. 우계서실과 「서실의」
4. 우계 교육사상 연구의 전망과 현대적 활용
5. 맺는 말
<참고자료>
Abstract

저자정보

  • 임선영 Lim, Sun-Yo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