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lay of Bobusang yeduck Sangmusa is with the national treasure transfer being discontinued and reduced due to the upheaval of the times, becoming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with the atten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uccessors of the wa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obusang Exhibition Hall” and the "BobuSangchon” being built in Yesan. It is true that compared to external growth, it has continued to depend on collection or oral records rather than historical data or academic arguments. It is not easy to secure performance at a time when the mix of data lacks grounds and has failed to break away from the performer's unprofessionality. Based on the history of the Transmission, the first part was identified by separating the first part from the transmission and entertainment part, the second part of unauthorized shop and Taryeong and the third part from the third part of discipline and service. Transmission and Entertainment in the second and third sections, scenes were listed and discussed from a directing perspective, as they were judg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performance because of the form of ceremonies centered on public matters. Complementation of playwrights, directors and actors with expertise as an urgent task remains a prior task in terms of prior experi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arming regions, the discontinuation of transmission due to aging and the succession of performances through fostering talent is a prior goal. Only regions should develop their own uniqueness by enhanc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s through the deepening process and creating a stable performance environment. This paper seeks to develop and adhere to the characteristic performance content of Yeduck Sangmusa BobusangNori.
한국어
본고(本稿)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본적을 두고 보부상의 역사성을 전승하고 있는 예덕상무사보 부상놀이보존회를 연구하고자 한다. 예덕상무사는 시대적 격변으로 인해 보부상의 기능이 소멸된 상황 에서 독특한 판매방식을 보부상놀이로 승화하여 전통성을 계승하고 있다. 특히 고무적으로 예산지역에 보부상유물전시관, 보부상촌이 건립될 정도로 지자체의 적극적 지원과 전승자의 노력으로 무형문화재 등록을 꾀하고 있다. 문제점도 대두되었다. 외형적 성장에 비해 본질인 공연성의 부재는 당면과제로 제 시된다. 배우의 실체는 몸이라는 기표를 통해 관객이라는 특수적 관계성을 통해 직접적으로 피력하는 방 식이다. 전승자의 노령화는 배우의 신체성을 결여시켜 관객과의 교감을 단절하여 공연성을 악화시킨다. 특히 무대화 성립을 위한 기초적인 대본, 연출, 무대 등에 대한 총체적인 대안이 절실하다. 특히 텍스트 는 고증적 자료나 학술적 논구보다는 채록이나 첨삭에 의존하여 명맥을 이어 온 것이 사실이다. 자료의 혼재로 인해 출처가 불투명하고 연희자의 비전문성을 탈피하지 못한 상황에서 공연적 특성인 연행성과 수행성을 도출하기는 쉽지 않다. 전승 내력을 보면 공연 대본으로 전해지는 1부 전승과 여흥, 2부 난전과 타령, 3부 규율과 봉사를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전승과 여흥은 공문제 중심의 의례형식으로 이루어져 공 연성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2, 3부 중심으로 장면을 나열하여 연출적 시각에서 논하였다. 시급 한 과제로 전문성이 확보된 극작가, 연출가, 배우의 보완은 선험적 측면에서 선행과제로 남아있다. 농업 지역 특성상 고령화로 인해 전승의 단절과 인재양성을 통한 공연의 계승은 선행목표이다. 심화 과정을 통한 공연의 질적 향상을 높이고 안정적 공연 환경을 조성하여 지역만이 고유성을 계발하여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예덕상무사 보부상놀이의 특징적 공연콘텐츠를 개발하고 천착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본론
2.1. 예덕상무사 보부상놀이 전승과 여흥
2.2. 난전과 타령
2.3. 규율과 봉사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