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어와 문어의 사용 실태로 본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문식성 연구

원문정보

Korean Literacy of Learners in Uzbekistan : A Study Based on the Usage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이미향, 손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t aspects of Korean literacy of learners by analyz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from Central Asia. It emphasized that literacy attainmen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social interaction skills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y comparing the usage of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of learners in Uzbekistan, this study confirmed the reality of usage and its uppermost limit. The aspects of language knowledge and usage skill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facts were observed. Regarding language knowledge, learners inserted omitted postpositions and tried not to use abbreviations in the spoken language. In addition, they tried to converse using declarative sentences. Above all, they were aware of the type of vocabulary and grammar to be used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Regarding language usage skills, the learners objectively distinguished between the subject of description and protagonist and used expressions to describe a subject by being out of context. When converting spoken words into a written text, they changed their viewpoint, and used indirect quotes and sentence adverbs to enhance coherence. However learners showed limitations regarding language usage skills. There was no logical coherence in their written text. Learners used spoken language rather than written language for communication in the text. In conclusion, while language knowledge of learners improved through explicit teaching, the same cannot be said for language usage skills. Thus, this study suggests preparing educational content and solutions to teach language usage skills to learners from oral culture in order to equip them with oral socio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한국어

본고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온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을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문식성 습득 양상을 알아본 것이다.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의 문식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우즈베키스탄 학습자 26명이 제공한 구어와 문어를 비교함으로써, 구술문화권 학습자의 문식성 사용 실태와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언어 지식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구어에서 생략한 조사를 넣고, 줄임말을 지양했다. 또한 대화문을 서술문으로 전환할 수 있었고, 구어와 문어에 달리 쓰이는 어휘와 문법을 구별하였다. 언어 사용 기술 측면에서는 서술 주체와 주인공을 분리하여 객관화하고, 문어 사용에 맞게 주어를 갖추어 표현하였다. 입말을 글로 전환할 때 시점의 변화와 간접인용법을 적용하였고, 응집성을 높이는 문장부사도 사용하였다. 이와 달리, 학습자들은 언어 사용 기술 측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가장 큰 문제는 문어 텍스트의 완결성이 부족하고 텍스트에서 논리성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문어 텍스트에서도 상대방을 설정한 채 높임법을 쓰는 등 구어 소통과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중요한 것은, 언어 지식 측면에서 학습자의 구어적 표현은 명시적 교수 학습을 통해 비교적 명료히 교정되는 반면에, 언어 사용 기술 측면에서는 쉽게 인지되지 않는 부분이라는 점이다. 이를 통해 구술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소통 능력을 갖춘 문식성을 지향하려면 언어 사용 기술 측면에서의 교육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권과 문식성
2.1. 구술문화권 학습자와 한국어 문식성
2.2. 학문목적 학습자로서의 한국어 문식성
3. 연구 절차 및 내용
3.1. 연구 대상 및 전개 방법
3.2. 연구 자료와 내용
4. 학습자의 문식성 적용 양상
4.1. 한국어 문식성의 적용 실태
4.2. 문식성 적용상의 오류와 한계점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미향 Lee Mihyang. 영남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손시진 Son Sijin. 영남대학교 국제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