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인식이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컴페션의 매개효과와 CSR진정성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CSR Perception On Creativity :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SR Authenticity

고성훈, 최용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employees’ CSR perception on creativity via compassion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CSR authenticity. For the research procedure, frequency analysis and CFA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sample collection, hypothesis verification and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360 employees from large-sized companies in Korea.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CSR percep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compassion. Second, compassion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SR perception and creativity was mediated by compassion, and the aforementioned mediated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CSR authenticity. Therefore, our study findings imply that, when employees perceive CSR, they will not only form compassion emotions but also will display more creativity especially when they perceive the authenticity of CSR.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기업 종업원의 CSR인식이 컴페션을 매개변수로 종업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더불어, 그 관계가 CSR 진정성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 절차는 표본 수집 후 빈도분석과 CFA분석 을 수행하였고, 가설검증 및 조절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 360명을 표본 으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CSR인식이 컴페션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유의하게 검증되었고, 컴페션이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역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둘째, 종업원들의 CSR인식이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 또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셋째, CSR인식과 창의성의 긍정적인 관계에서 컴페션의 매개효과와 CSR진 정성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실증되었다.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이 기업의 CSR을 인식할 때 컴페션의 감정을 형 성할 뿐 아니라 CSR의 진정성을 인식하게 될 때 개인적인 창의성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실증했다는데서 의의를 가진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2.1 CSR인식과 컴페션의 관계
2.2 컴페션과 창의성의 관계
2.3 CSR인식과 창의성의 관계
2.4 CSR인식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컴페션의 매개효과
2.5 CSR인식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CSR진정성의 조절효과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및 절차
3.2 도구의 측정
3.3 연구 모형
3.4 인구 통계학적 변수
4. 연구 결과
4.1 잠재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 및 적합도 검증
4.2 상관관계 분석 및 타당도 검증
4.3 가설 검증 및 연구모형의 경로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5.1 결론
5.2 시사점
5.3 한계점 및 향후 연구
REFERENCES

저자정보

  • 고성훈 Sung-Hoon Ko.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상업교육전공 조교수
  • 최용준 Yongjun Choi.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