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일 학교에서 상호문화교육의 실행원칙과 실천사례

원문정보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 Schools

정기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 school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have examined German immigration policy since 2000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at context. In addition, I examined the principl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examining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KMK's Recommendation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which is currently affecting the German policy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en I introduced example that fits one of those principles. In conclus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irs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for soci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Second, to support their native language of young immigrants so that they can compete in the labor market. Third, it is to prepare for the possibility of placement of teachers who have bilingual / multilingual ability and teachers who are qualified as Korean as foreign languages ​​for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of migrant and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such as 2P, the potential of migrant students is discovered at an early stage and efforts are made to guide them appropriately. In the case of Germany, it should be noted above all that all students can take for granted that the society in which they live is multicultural and take the necessary abilities to live together.

한국어

이 연구는 독일학교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실행원칙과 그에 맞는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독일의 이주민 정책을 살펴보고, 그 맥락에서 상호문화교육의 등장과 전개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재 독일 주정부의 상호문화교육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KMK의 ‘학교에서의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권고’를 개정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변화를 파악하면서 상호문화교육 실행원칙과 그 원칙에 따른 실천사례를 소개하였다. 이 연구는 결론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통합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정책이 취하고 있는 관점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상호문화교육/외국인교육학)을 제공한다.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가능성 검토이다. 셋째, 이주 및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을 위해 이중언어/다중언어 능력을 가진 교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원자격을 겸비한 교사의 배치 가능성에 대한 대비이다. 넷째, 2P와 같은 진단도구 개발을 통해 이주 학생의 잠재능력을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진로지도를 위한 노력이다. 독일의 사례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무엇보다도 모든 학생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가 다문화사회임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함께 살아가는 데 필요한 능력을 습득할 수 있고, 이주배경을 가진 아동청소년의 학교적응과 학교에서의 성취 경험이 사회적 통합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학교를 사회통합의 장으로 형성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2000년 이후 이주민 정책
Ⅲ. 상호문화교육과 실행원칙
1. 상호문화교육의 등장과 전개
2. 상호문화교육 실행원칙
Ⅳ. 상호문화교육 실행 사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2P
1. 2P의 개발 및 목적
2. TEST의 구성영역
3. 실시과정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기섭 Chung, Kiseob.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