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판적 리터러시와 다문화 리터러시의 접점에 대한 고찰 - H. Janks의 리터러시 모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terface between Critic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Literacy : Focusing on H. Janks’ literacy model

장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ghlighting that literacy, knowledge, and eduction, which constitute the framework of a society, can never be separated from the issue of power,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power relations among literacy, diversity, and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Through examining ‘literacy hegemony’ and ‘access paradox’,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dentity the interface between critic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literacy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as a way to create productive power of diversity. In doing so, this article reviews some theories and studies relating to critical literacy, particularly focusing on Hilary Janks’ interdependent model of literacy, which addresses the relationships among diversity, access, domination, and design. Through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literacy, this article also calls for a need to re-conceptualize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linked with critical literacy will lead us to recognize unequal realities prevalent in our lives and to promote practical skill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sense of community beyond the common and sometimes hollow phrases of ‘respect’, ‘tolerance’ and ‘diversity.’

한국어

본 논문은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인 리터러시, 지식, 그리고 교육이 권력과 결코 무관할 수 없음을 전제로 하며, 이러한 권력관계가 다문화 시대, 다양한 집단의 접촉과 공존의 필요성 가운데 가시화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논문의 목적은 리터러시 이데올로기와 접근성의 모순(access paradox)에 대한 고찰을 통해 비판적 리터러시와 다문화 리터러시의 접점을 논의하고, 오늘날 교육의 중요한 방향으로서 생산적인 권력의 창출을 가능케 하는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구현되는 리터러시와 권력의 관계를 다루는 비판적 리터러시에 대한 이론적 흐름을 되짚어 보고,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응용언어학자인 Hilary Janks의 이론과 연구를 중심으로 다양성, 접근성, 권력, 그리고 디자인의 상호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리터러시 개념을 재구성함으로써,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재고를 촉구한다. 비판적 리터러시에 기반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은 오늘날 우리 사회와 학교에서 공허한 선전구호처럼 외치는 ‘다양성 존중’을 넘어서, 우리 삶에 만연하는 불평등에 대한 명철한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진정한 상호이해와 공동체 의식 함양으로 이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되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리터러시로의 선회 : 이념적, 다중모드적, 비판적 리터러시
Ⅲ. 다문화 리터러시 : 개념, 오해, 그리고 함의
Ⅳ. 다문화 리터러시와 비판적 리터러시의 접점 : 생산적 권력의 가능성에 대하여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은영 Eun-Young Jang.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