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의 유아 다문화 보육, 교육 연구동향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end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Childcare and Education in Japan

이성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 in Japan by conduct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Japan,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its direction.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The research papers are from 58 journals selected by J-STAGE and CINII search tools are reviewe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children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study, current status of publication journal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The research period was divided into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 practice, case, observation researc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earch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12 themes including identity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period was published from 1991 to 2019, and i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0. The current status of journals was continuousl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Japanese Childcare Research and the Journal of University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Childcare Consciousness multicultural status and tasks, language and foreign cases. Finally, the direction of Japanese multicultural childcare and education was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유아 다문화보육,교육에 대한 고찰을 함으로서 일본의 유아 다문 화보육, 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특성을 탐구하며 유아다문화보육과 교육이 나아갈 방 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분석대상논문은 학술지 검색도구인 J-STAGE와 CINII 검색도구 등에 수록된 학술지 58편이다. 대상은 유아에 한정하였고 연구시 기, 게재학술지 현황,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8편의 논문에서 게재 연구논문의 시기는 1991년에서 2019년까지로서 2010년경 전후로 증가되고 있다. 게재 학술지 현황은 주로 일본 보육학연구 학회지와 대학연구 논문집에서 지속적으로 발간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10년경을 전후하여 사례, 관찰연구, 설문조사가 많았고 문헌연구도 지속적으로 행해졌다. 연구내용은 초기에는 정체성, 다문화이해, 지역의 다문화, 반편견 교 육과정 등이 연구되었으나 2010년경을 전후로 하여 다문화이해, 보육자의 의식ㆍ보육관, 현상과 과제, 교사와 유아의 다문화 언어, 외국의 다문화보육 사례연구 등이 행해졌다. 끝으로 일본의 유아다문화보육, 교육의 방향을 논했다.

일본어

本研究は、日本における多文化保育と教育に関する体系的文献レビューを行い、多文化保育と教育に関 する研究動向を調べ、その特性を探り、多文化保育と教育の方向性を確立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さらに、韓国 を含む世界的に増加している幼児の多文化保育と教育に対する望ましい認識を備えるとともに、幼児の多文化保 育、教育の方向を再確立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 研究方法は文献研究であり、分析対象論文は、学術誌検索ツールであるJ-STAGEとCINII検索ツールなど に収録された学術誌58編である。対象は幼児に限定され、研究期間、出版学術誌の現状、研究方法、研 究内容により分析した。 研究期間は、研究が始まった時期から最近まで、学術誌は掲載学術誌全部を対象にし、研究方法は、文 献研究、実践․事例․観察研究、インタビュー・アンケート調査に区分し、研究内容は、多文化に関連す るアイデンティティをはじめ、合計12種類のテーマに分類した。 研究結果は、時期別掲載研究論文の数が、1991年から2019年まで発表された論文として、2010年を基点 に着実に増加している。掲載学術誌の現状は、主に日本の保育学研究学会誌と大学研究論文集で継続的 に発刊されていた。研究方法としては、理論研究、アンケート、インタビュー研究、実践、観察、事例研究 がそれぞれ実施されている。研究内容としては、多文化理解、保育者の意識・保育観、多文化の現状と課 題、言語・外国の事例調査を行った。最後に、日本の幼児多文化保育と教育の方向性を論じた。多文化 教育の必要性は、少数民族の幼児を対象とした多文化保育を超えて、多文化共生の意識を育成し、多文化 共生の育成と教育に進むことによって、多文化国際化教育の必要性であると見なすべきである。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문헌 검색 및 문헌선정
2. 분석방법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연구시기 분석
2. 게재 학술지 현황
3. 연도별 연구방법 분석
4. 연구내용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일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한 Lee Sung Han. 고신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