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ocial statistic was used to top 250 Korean and Japanese YouTube channels based on the number of subscribers examine its channel type (private/corporations/others), distribution of contents and private YouTube channels' date of registration. The channel examination was also used to provide practical hint to create new Youtube content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n channels were mainly managed by K-Culture related companies for the promotional purpose, whereas Japanese channels were mainly managed by individuals with a variety of contents. It is presumed that Japanese individuals have been engaged in creating individual video content since the early period through video uploading platforms other than YouTube such as Niconico Douga. Since the expansion of the YouTube market will continue, it is important not only to reinforce corporations’ marketing on YouTube but also to promote the uniqueness and the diversity of YouTube content for the individuals to improve the economical, sentimental, and informational contents in order to create socially effective personal contents that can b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한국어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유사한 한국과 일본에서 선호하는 유튜브 콘텐츠의 특징과 성향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며, 인기 콘텐츠 제작을 위한 힌트를 얻고자 양국의 인기 상위 250개의 유튜브 채널 콘텐츠를 조사, 분류하고 사회통계학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유튜브 채널 운영 주체의 유형, 콘텐츠 채널의 분야별 분포, 한일 양국의 개인 유튜 브 가입경과일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은 방송사와 연예 기획사 등이 K-pop, 드라마, 예능 등의 한류 콘텐츠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을 목적으로 한 홍보 영상을 제작, 채널 개설, 운영하는데 반해, 일본은 도구나 물건, 행동과 관련된 실험, 토크쇼, 일상 등을 소재로 하는 개인 유튜브 채널의 운영이 많고 분야별 다양성 및 독창성이 인정된다. 이는 일본 개인 크리에이터들이 이른 시기부터 니코니코동화(ニコニコ動画)와 같은 콘텐츠 운영 활동을 통해 콘텐츠의 독창성과 다양성을 기르기 위한 시간 확보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향후, 유튜브 영향력의 증대를 고려하여 개인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감정적, 지식적, 경제적 가치에 기반한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하며, 사 회적으로는 1인 미디어 제작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 홍보 그리고 경제적 지원책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한일 유튜브 콘텐츠의 비교분석 및 특징
4.1 유튜브 채널 운영 주체의 유형
4.2 유튜브 채널의 분야별 항목분포 및 특징
4.3 한일 개인 유튜브 가입 경과일과의 관련성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