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echnological advancem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big data are revolutionizing the entire society. In this paper, we analyzed preliminary teachers' daily internet/gaming/smartphone habit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eference factors in gender and diagnosis group in the situation of ethical dilemma in driverless cars. The result shows most of the male students are in high risk group of daily internet/gaming usage, and male students tend to be more immersed in game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which negatively affects their daily lives. Students who have at least one of the daily internet/gaming/smartphone habits a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as high-risk group in all three of daily internet/gaming/smartphone habit. Fortunately, the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addicted and wanted change their habits. An analysis by a moral machine of these students tell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among diagnosis groups. However, specifically in the ethical dilemma of driverless cars, all the groups of male, female, normal, high-risk showed they have priority in pedestrians over drivers, a large number of people over small, and people who obey traffic rules over who do not. The tendency was pronounced in female group and high-risk students prioritized people who are older and in lower social status.
한국어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등의 기술발전으로 사회 전분야에 대변혁을 일으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 들의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 정도를 파악하고, 무인자동차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남녀별, 진단군별 선호도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학생 대부분은 인터넷/게임생활습관의 고위험군이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게임에 더 몰두하고 내성이 생겨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었다.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 관중 하나라도 고위험군 학생들은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 3가지 모두 고위험군일 가능성이 높았으나, 스스로 인터넷/게임/스마트폰 중독이라고 자각하고 있었으며 사용습관을 바꾸기를 원했다. 이들의 모랄 머신 평 가결과, 남녀별, 진단군별 선호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무인자동차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선택의 선호도는 남녀, 일반군/고위험군 모두 사람우선, 보행자우선, 소수보다는 다수를, 교통규칙을 잘 지키는 사람을 중시하였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일반군보다 고위험군 학생들이 사회 적 지위가 낮은사람, 젊은이보다 노인을 우선시 하는 경향을 보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인터넷/게임/스마트폰 생활 습관 도구
2.2 모랄 머신(Moral Machine)
2.3 선행연구
3. 연구내용
3.1 분석대상
3.2 분석내용
4. 연구결과
4.1 남녀별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 분석
4.2 진단군별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 분석
4.3 남녀별 모랄 머신 선호도 분석
4.4 진단군별 모랄 머신 선호도 분석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