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집단 다전문가 협업프로그램에서의 School AMPS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접근의 의미

원문정보

Sensory Integr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Elementary Students Collaborative Group Program : Implementing School AMPS

지석연, 이성아, 박소연, 홍민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program review collaborative group program by special educator and occupational therapist for supporting children’s school tasks, and it is designed to explore how changed school performance skills and to analyze how applied intervention methods including sensory integrative approach. Methods : Participants were 6 male elementary students(5 = 1st grade, 1 = 2nd grade). Pilot program had reviewed and its results used as base for planning main program. Main program was implemented by collaborative process with teacher and occupational therapist for 1 year. School AMPS was used to assess school task participants, and informal motor and process skill observation was used to assess self-help activities. Description of records by professions about intervention strategies through assessments was described as qualitative way. Japanese sensory inventory was used by parents. Results : Through the collaborative process, assessing children, planning and modifying program, establishing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implemented. Self-help abilities in group program were increased much more independently. School task abilities were increased slightly but skills changed irregularly and unexpectedly and their reasons became considered more complex from sensory processing reasons to social and emotional reasons. Conclusion : Sensory integration had benefits for primary group program and more complex intervention strategies became to emerge demands for person- environment-task challenges. Collaborative practice with teacher and occupational therapist was supplement and synergic effect for children and group dynamics. More objective and comprehensive methods for measure collaboration and group effect would be needed in further study.

한국어

목적 : 학교기반 작업치료는 교육전문가와 협업하는 다전문가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진학하 는 고위험군 아동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함께 지역사회 기관에서 협업으로 실시하는 집단교육 시간의 작업수행변화를 분석하고, 감각통합 중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예비 프로그램으로 입학준비 프로그램을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부분적인 협업을 통해 실시한 후, 초등 학교 적응프로그램은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전체과정을 협업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6명이었다(7세 5명, 9세 1명). 프로그램 평가는 교육활동 참여에 대해 School AMPS를 실시하였고, 일정하게 구성된 자조활동에 대해 AMPS 수행기술을 관찰하여 중재전략에 활용하였다. 평가를 통한 중재전략과 그에 따라 진행된 변화를 교사와 치료사의 월간 기록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설문을 통해 감각프로파일을 조사하였다. 결과 : 사전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 5명 중 4명이 감각통합적인 어려움으로 수행에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되었고, 이 결과가 본 프로그램 구성에 기반이 되었다. 본 프로그램 구성은 참가 아동이 속한 학년의 교실에서 수업과제 (school task)와 집단 활동, 기본 자조활동으로 이루어졌고, 수업과제활동평가 School AMPS는 통계적으로는 유의 미하지 않으나 평균 운동기술은 0.14 로짓(logit), 평균처리기술은 0.07 로짓이 향상되었다. 협업적 중재로는 감각 통합이 주된 회복적 중재로 사용되었고, 과제수행을 통해 직접 어려움이 있는 기술을 향상하는 습득적 중재, 교사의 대응전략이나 도구 및 환경 조정을 시행하는 보상/적응적 중재가 적용되었다. 기본적 자조활동들은 도움이 필요한 수준에서 자립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서 반복적인 자조활동의 경험과 중재가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개선된 수행기 술들 이외에 새롭게 도전이 되는 수행기술이 발생하였고, 이런 문제들은 감정과 행동문제와 더불어 감각통합의 어려움 뿐 아니라 집단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이유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초기에는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참여가 향상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 활동을 통해서 드러나 는 초등학생들의 감정조절 문제, 역할 변화에 따른 수행변화, 또래에 대한 반응문제가 드러남에 따라 감각통합적인 중재에서 더 복합적인 개인-환경-과제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였다.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협업은 상호보완적이 며 필요한 수행기술을 향상하는 데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School AMPS는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일부 제시하는 데 유용하며, 향후에는 질적 분석을 보다 객관화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목적 및 연구대상
2. 연구내용
Ⅲ. 결과
1.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 1차 평가
2.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 2차 평가 : School AMPS 평가결과 전·후 비교
3. 프로그램 전체 평가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지석연 Ji, Seok-Yeon. SISO 감각통합상담연구소
  • 이성아 Lee, Seong-A. 순천향대학교
  • 박소연 Park, So-Yeon. 이화여자대학교 발달장애아동센터
  • 홍민경 Hong, Min-Kyung. 푸르메 재활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