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동산신탁과 과세

원문정보

Real Estate Trust and Taxation

이정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trust law」 was revised in 2012, trusts have developed and utilized in various types in our country. In addition, the issue of taxation under trust transactions is also subject to discussion as the frequency of the use of trust as a type of transaction increases. It is now facing a change in the taxation system on trust income. In addition to the revision of the regulations concerning paid tax holders stipulated in the respective tax laws, the discussion on abolition of the existing trust and tax theory was made as the judgment of the tax payment authority was made differently than before through precedents.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in Republic of Korea, which only recognizes natural people and corporations as the subjects of their rights, trust property cannot be considered the subjects of their rights obligation in principle. However, Article 13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ation」 also grants legal status under the Tax Law to divisions or other organizations that do not have judicial status under certain requirements. There is currently a conflict between the trust conduit theory and the trust entity theory as to whether or not the trust property can become the principal entity of the tax obligation under the tax code. The trust conduit theory is that trust property is no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ntity and is not taxed on trust property because it is only a conduit for distributing income generated through trust to the beneficiary. The trust entity theory is that the trust is guaranteed its independence under the trust law like a corporation, so that the trust property should be regarded as a corporation and should be taxed on the trust property itself. The trust conduit theory and trust entity theory differ in the logical structure and outcome in trust taxation, in the matter of overlapping taxation, in the classification of trust income, in the judgment of the timing of income attribution, in the judgment of withholding duties, etc. Currently, some in Korea argu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rust entity theory in relation to the taxation theory of trust income, but the trust conduit theory seems to hold the position of the major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stently apply the trust conduit theory in trust taxation. For example, in investment trusts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consignors, because they cannot be taxed on the beneficiary at the time when the trust income is attributed to the trust property. In taxation on real estate trusts, the national tax is judged to be a state in which the trust conduit theory is majority, and the local tax is divided between the views of applying and opposing the trust conduit theory. However, national and local taxes are no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tax items, but rather by whether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re levying the tax. Therefore, applying the national tax or local tax collectively to a particular taxation theory does not constitute a basis for appropriate taxation judgment, since the nature of the tax item has not been taken into account at all. Taxes related to real estate trusts are typically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income tax (or corporate tax) and value-added tax, with each tax item having its own particular character. For example, property tax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holding property, and income taxes or corporate tax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levying taxes on individuals or corporations if they actually have income. Therefore, the primary taxation standard in taxation on real estate trusts thinks that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nature of the tax item. If the interpretation of the real tax principle is then applied, even if the trust and tax theory are not applied, the attitude of the current tax laws and precedents in trust transactions will be fully understood.

한국어

2012년 「신탁법」이 전면 개정된 이래, 우리나라에서 신탁은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 하여 활용되고 있다. 또한, 거래유형으로서 신탁이 활용되는 빈도가 증가하는 만큼 신탁거래에 따른 과세문제도 함께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신탁소득에 대한 과세체계에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각 세법에 명시된 납세의무자 관련 규정이 개정 되는가 하면, 판례를 통해 납세의무자 판단이 이전과 달리 이루어지면서 기존 신탁 과세이론에 대한 폐지논의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자연인과 법인만을 권리의무의 주체로 인정하고 있는 현행 우리나라의 사법체계에 서 신탁재산은 원칙적으로 권리의무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국 세기본법」 제13조는 일정한 요건 하에서 사법상 법인격이 없는 사단 또는 재단 기 타 단체에 대하여도 세법상 법인격을 부여하고 있다. 신탁재산이 세법상 납세의무 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현재 신탁도관설과 신탁실체설이 대립하고 있다. 신탁도관설은 신탁재산은 신탁을 통해 발생한 소득을 수익자에게 분배해주는 도관에 불과하기 때문에 독립된 실체로 인정되지 않으며, 신탁재산에 대하여 과세 하지 아니한다는 이론이다. 신탁실체설은 신탁이 마치 법인처럼 신탁법상 그 독립 성을 보장받고 있으므로 신탁재산을 법인과 같이 보아 신탁재산 자체에 과세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신탁도관설과 신탁실체설은 신탁과세에 있어 중복과세의 문제, 신탁소득구분의 문제, 소득귀속시기에 대한 판단, 원천징수의무자에 대한 판단 등 에 있어 논리적 구조와 결과를 달리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신탁소득의 과세이론과 관련하여 신탁실체설의 도입을 주장하는 견해도 있으나, 신탁도관설이 다수설 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신탁도관설을 신탁과세에 있어 일관되게 적 용하기는 어려운데, 그 예로 위탁자가 불특정다수인 투자신탁에 있어서는 신탁소득 이 신탁재산에 귀속하는 시점에 일일이 수익자에게 과세할 수 없기 때문에 신탁도 관설의 수정은 불가피하다. 부동산신탁에 대한 과세에 있어, 국세는 신탁도관설이 원칙 내지 다수설이고, 지방 세는 신탁도관설을 적용하는 견해와 이에 반대하는 견해가 대립되고 있는 형국으 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세와 지방세는 세목의 성격에 따른 구분이 아니라 세금의 부과기관이 국가인지 또는 지방자치단체인지에 따른 구분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국세 또는 지방세를 일괄적으로 특정한 과세이론에 적용시키는 것은 세목의 성격 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인바, 적합한 과세판단의 기준으로 볼 수 없다. 부동산신탁과 관련된 과세로는 대표적으로 취득세, 재산세, 소득세(또는 법인세), 부 가가치세 등이 있는데, 각 세목은 특유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재산세의 경우 보유과세라는 세목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소득세 또는 법인세의 경우는 개 인 또는 법인에게 실제로 소득이 발생한 경우에 세금을 부과한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신탁에 대한 과세에 있어 일차적인 과세기준은 해당 세목의 성 격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후 실질과세원칙의 해석이 적용된다 면, 신탁과세이론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신탁거래에 있어 현행 세법과 판례의 태도 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신탁법상 신탁의 기본구조
1. 신탁의 개념과 구조
2. 신탁의 종류
3. 신탁구조에 관한 학설과 판례
Ⅲ. 신탁과세에 관한 이론
1. 신탁소득 과세이론
2. 신탁구조에 관한 학설과 신탁소득 과세이론의 관계
3. 소결
Ⅳ. 부동산신탁거래와 실질과세원칙
1. 신탁거래에 따른 세목별 과세기준
2. 실질과세원칙의 해석과 적용
3. 소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선 Lee, Jung Sun.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과장, 법학박사, 변호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