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취업진로연구(2016-2018)』의 학술적 가치 및 특성에 관한 메타(META) 분석

원문정보

A Meta Analysis on Academic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2016-2018)』

이종구, 탁인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10 years since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held its foundation conference in 2010.10.22. Also 9 years have passed since its first publishing of academic journal, named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ume 1 was first published in June 30th, 2011. Ever since then, volume 27 was published in September 30th, 2019. This study is a meta analysis result of data and characteristics of theses published in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for 3 years(2016-2018) which is an academic journal of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to submit in '2019 new and continuing evaluation of academic jounals'. From its 7th publication in December 5th 2014,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as designated as achievement management in academy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It was August 3rd 2016 in '2016 new and continuing academic journal evaluation', which was 2 years after designation of its candidate journal in 2014's academic journal evaluation by NRF. As we can see,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achieved skyrocketing performance and advance within short amount of tim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s contribution to Korean employment culture development. It developed from employment information which used to be dealt as a part of simple side branch, to employment culture, an academic field. Through this, it made momentum that helped corporate, university students, government, public organization to treat employment information more significantly. Thanks to its result, sub culture which consists employment culture was developed rapid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said that issues and contents generated from employment factors in our society were introduced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or theses, which accelerated academic study. 'Competency Interview', 'Campus Recruiting', 'Self Introduction', 'Using AI method in recruiting' etc. can be examples of them. It is suggested that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should deal with developed countries' reruiting method and university graduat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udy should be more treated. Currently, since thesis submission is mainly done by domestic researchers, developed countries' university students' development method and career management, and graduate students' business establishment research which is supposed to be in line with employment, needs to go further. If those needs are fulfilled, more globalised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ill pave the way for its position.

한국어

한국취업진로학회가 창립총회(2010.10.22)를 개최한 지는 올해로 10년째이며 학술지인 [취업진로연 구]를 발간한 지는 9년째를 맞고 있다. [취업진로연구] 통권1호(2011년6월30일)가 발간된 이래 현재 통 권 27호(2019년9월30일)가 나왔다. 본 연구는 한국취업진로학회 학술지인 [취업진로연구]의 한국연구재 단 ‘2019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를 위해 제출한 [취업진로연구(2016-2018)]에 게재된 3년치 논문의 데이터와 성격을 메타 분석한 연구이다. [취업진로연구]는 학술지를 발간한 지 통권 7호째인 2014년12월5일, 한국연구재단 ‘2014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에서 등재후보지로 선정된 이래 약 2년 뒤인 2016년8월3일, ‘2016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에서 등재지로 선정되었다. 현황에 서 알 수 있듯이 [취업진로연구]는 단시간에 걸쳐 비약적인 발전과 성과를 도출했다. [취업진로연구]가 한국 취업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헌과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사회에 서 학문적 영역이 아닌 곁가지로 다루어오던 단순한 취업정보를 취업문화라는 학문적 영역으로 발전시 켰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기업과 대학과 대학생 그리고 정부 및 공공 기관들이 취업정보를 보다 비중 있게 다루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결과로 인해 취업문화를 구성하는 하위문화들의 학문적인 발전을 더 욱 가속화 시킬 수 있었다. 시사점과 제언은 우리 사회 취업문화 구성요소 가운데 이슈화 되는 내용들 을 학술발표를 통해 선보이거나 혹은 투고논문을 통해 시현시켜주어 학문적 연구를 가능하게 만든 촉 매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역량면접”, 캠퍼스리크루팅“, “자기소개서 없는 지원전형”, “공채전형 에 AI 기법 도입” 등이 이에 해당되는 사항일 것이다. [취업진로연구]에 대한 제언은 향후 선진국의 채 용기법과 대졸 인재육성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연구자 중 심으로 논문투고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선진국들의 대학생 인재육성 방법이나 경력관리 그리고 최근 취 업의 연장선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학생 창업과 같은 분야의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이 점을 보완해나 간다면 보다 글로벌화 된 [취업진로연구]의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범위
Ⅱ. 취업진로연구 개재논문 연구자 현황과 연구영역
2.1 연구자 속인적 특성 및 현황
2.2 게재논문 주제와 학술지 간의 부합성
Ⅲ. 취업진로연구의 특징 분석
3.1 취업진로연구의 연구영역 분류 및 주요 연구 내용
3.2 유사분야 학술지와 비교 분석
3.3 게재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
3.4 국내외 이해 관계자들과의 상호 작용
3.5 학술적 가치 및 성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구 Jong-Gu Lee.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 탁인철 In-Cheol Tak.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