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은해사 괘불탱의 상태 및 재료 해석

원문정보

Scientific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Properties of Hanging Painting of Eunhaesa Temple

이은우, 경유진, 윤지현, 권윤미, 송정원, 서민석, 이장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ed state, materials, and colored pigments of a Buddhist painting of Eunhaesa temple(gwaebultaeng), which is Treasure No. 1270 of Korea,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ubje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onservation and analyze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each pigment in the painting. Results indicate that various colors were created using inorganic pigments such as white lead, minium, cinnabar, orpiment, gold, atacamite, malachite, and smalt and using organic pigments such as black and indigo. The Eunhaesa painting used “cho” as a material for wallpaper, which was unusual during the Joseon period. In addition, a white layer was formed using various white pigments, which was also rare during this period.

한국어

본 연구는 은해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탱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보존 상태, 재질 및 채색 안료 등에 대한 성격과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의 미술사적 배경을 짚어보고 보존적 측면의 상태조사 및 안료 색상별 재료적 특성을 알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백, 연단, 활석, 진사, 석황, 금, 녹염동광, 공작석, 회청 등의 무기안료와 먹 등의 유기염료를 사용하여 다채로운 색을 구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탕화면 은 조선시대 불화의 재료로 흔치 않은 초(綃)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백색 채색층은 여러 종류의 백색계열의 안료를 사용한 형태로 이는 괘불탱 백색 채색으로는 드문 사례라 할 수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분석 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3.1. 바탕화면 직물
3.2. 채색 안료 분석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은우 Eun Woo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경유진 Yu Jin Gyeong. 성보문화재연구원
  • 윤지현 Ji Hyun Yoon.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권윤미 Yoon Mi Kwon.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송정원 Jeong Won Song.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서민석 Min Seok Seo.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장존 Jang Jon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