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paper is a follow-up research on Gyeomjae’s works of North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which he had made while he had been in office as a governor of Hayang(currently, Gyeongsa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of Cheongha(currently, Pohang, North Gyeongsang Province), of which the researcher had researched firs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his collected paintings Gwandong-Myeongseungcheop (which he had painted after traveling through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Gwandong areas in Gangwon Province while he had been in office as a governor of Cheongha) and examine his achiev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t can be said that his paintings, Mt. Geumgang and Real Landscape paintings are truly amazing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s. However, the studies on his paintings while he had been in office in the provinces have not been researched properly yet, which could be his another achievements. Therefore, the present paper has examined the artistic meanings of his real landscape paintings which Gyeomjae had created, observing the fact that he had tried real landscapes paintings through actual landscapes while dealing with the actual landscapes and portraying the real people as staffage in his works in Gwandong-Myeongseungcheop.
한국어
논문은 연구자가 1차로 겸재가 하양(경북 경산)현감 시절과 청하(경북 포항)현감 시절에 제작한 영남지역 작품에 관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겸재가 청하현감 시절(1733-1735)에 경상북도와 강원도 등 관동지역을 유람하면서 그린 『관동명승첩(關東名勝帖)』의 그림을 분석하고 그의 업적과 그림에 나타난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겸재의 금강산 그림과 진경산수화는 한국회화사에서 실로 대단한 업적이다. 그런데 겸재의 또 하나 화적(畵積)인 지방 관직 시의 그에 대한 회화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동명승첩』의 작품들이 실재적 외경을 다루면서 실존하는 인물을 점경인물로 묘사하는 등 실경을 통해 진경화로 시도한 점 등에 착안하여, 즉 이러한 일들이 바로 겸재가 진경산수화를 창출하게 된 회화사적 의의라고 보았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대상
Ⅱ. 청하현감 시절의 활동 배경
1. 청하현감 재직 사정
2. 영남ㆍ관동지역 유람과 사경산수화 제작
Ⅲ. 관동지역을 그린 《관동명승첩》분석
1. 경상북도 지역의 그림
2. 강원도 지역의 그림
Ⅳ. 《관동명승첩》의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